[스크랩] 간지배치론 3.6 간지배치론(干支配置論)1) 간지의 배치는 간지 사이의 각종 관계를 말하는데, 여기에는 생극(生剋), 호통(互通), 허실(虛實)의 원리가 있어서 팔자 분석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생극 : 천간과 지지는 상호 생하고 합할 수는 있지만, 극할 경우에는 천간이 지지를 극할 수는 있지만 지지가 천간을 극할 ..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적신포신론 3.6 적신포신론(賊神捕神論)1) 이것은 빈주론과 체용론을 연장해서 응용한 개념인데, 주(主) 혹은 체(體)가 되는 것이 외부의 빈(賓) 혹은 용(用)을 제(制)하거나 취(取)하면 내가 추구하는 것을 얻게 되는 것이다. 만약 주와 체가 비교적 왕하고 빈과 용이 비교적 약할 때도 있는데, 도적이 되는 적신(賊神..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능량효율론 3.5 능량효율론(能量效率論)1) 맹파 명리학은 일간의 왕쇠와 격국 용신을 보지 않고 다만 공을 이룰 수 있는가, 주공(做功)이 되는가, 어떻게 주공이 이루어지는가, 이것만을 중요하게 여길 뿐이다. 물리학에서는 능량을 이용해서 효율을 얻으면 공을 이루게 되는데, 팔자에서도 능량을 소모해서 효율을..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공신론 3.4 공신폐신론(功神廢神論)1) 재성과 관살성의 용은 신외지물이기 때문에 반드시 체와 어떤 관계가 발생한다. 체가 그것을 제(制)하거나 화(化)하거나 합(合)할 때 비로소 결과가 일어나는 것이다. 체와 용, 빈과 주의 관계에서 공(功)을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공을 이루는데 참여하는 글자를 공신(..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체용론 3.3 체용론(體用論)1) 체용 이론은 십신의 각도에서 자아주체와 외물객체를 구별하는 원리이다. 팔자의 십신을 체와 용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체란 나와 내가 사용하는 공구이다. 즉 일간과 인성과 녹이 체가 된다. 용이란 나의 목적이고 내가 추구하는 것이다. 즉 재관이 용이 되고 내가 추구하는 것이 ..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빈주론 3.2 빈주론(賓主論)1) 맹파 명리학은 주인과 손님을 분별한 후에 어떤 것이 내 것이고 남의 것인지를 논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내 것이 주(主)가 되고 남의 것이 빈(賓)이 된다. 빈주 이론은 상황에 따라서 주와 빈의 범위가 달라진다. 일간이 주가 되면 여타 간지가 빈이 되고, 일주가 주가 되면 타..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맹파명리학의 내용-1(취상론) 3. 맹파 명리학의 내용 3.1 취상론(取象論) 맹파 명리학의 상(象) 이론은 일반 명리학과 유사한 부분도 있고 다른 부분도 있다. 상은 다시 오행유상(五行類象), 십간유상(十干類象), 궁위취상(宮位取象), 십신유상(十神類象), 신살유상(神煞類象) 등으로 구별된다. 상을 모르면 맹파 명리학의 구체적인 통..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맹파명리학의 유래와 특성 2. 맹파 명리학의 유래와 특성 단건업(段建業)이라는 사람이 2000년부터 중국에 맹파 명리학을 일반인에게 널리 보급하기 시작했다. 맹파 명리학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그 학설의 내용을 널리 전파하고 있는 그는 맹파 명리학의 본격적인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던 자신의 저서 �맹파명리(..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여씨명리학의 사례분석 3.3 여씨 명리학의 사례 분석 재운 예측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呂文藝, 2003 : 242) 癸 乙 丁 甲 未 卯 卯 辰 시 일 월 년 庚午 대운 丙子 유년의 재운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① 주동의 운인 子水 인성이 대운의 午火 상관을 충한다. 효인충식상의 십신 작용 방식의 의미는 투자이다. 그러.. 카테고리 없음 2010.07.28
[스크랩] 사안별 길흉작용 3.2.2 사안별 십신(용신)의 길흉 작용 분석 여씨 명리학은 사안별로 십신을 배정하고, 십신의 대표 의미와 십신 작용 방식의 조합에 근거해서 개별적 사안의 길흉을 해석하게 되므로, 여러 가지 사안마다 길흉의 해석이 달라진다. 본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재운의 분석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재.. 카테고리 없음 201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