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사안별 길흉작용
3.2.2 사안별 십신(용신)의 길흉 작용 분석
여씨 명리학은 사안별로 십신을 배정하고, 십신의 대표 의미와 십신 작용 방식의 조합에 근거해서 개별적 사안의 길흉을 해석하게 되므로, 여러 가지 사안마다 길흉의 해석이 달라진다. 본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재운의 분석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재운의 분석에서는 십신의 대표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관살은 재물의 소모를 대표하고, 효인은 사정을 대표하고, 재성은 재물을 대표하고, 식상은 재물의 근원을 대표하고, 비겁은 손재를 대표한다.
재운 예측에서 십신의 작용 방식은 다음과 같이 51가지의 경우를 가지고 해석하게 된다.(呂文藝, 2003 : 238-240)
관살극비겁 : 득재, 관살극신 : 손재. 관살생효인 : 투자, 관살충비겁 : 재앙으로 인해 득재, 관살충식상 : 사기 당하고 투자 실패, 관살합식상 : 사기당함, 관살합재 : 손재, 관살합효인 : 실수로 손재, 관합신 : 발전 득재, 비겁극재 : 손재, 비겁생식상 : 득재, 비겁충관살 : 도움 받아 득재, 비겁충재 : 손재, 비겁합관살 : 재앙으로 인해 득재, 비겁합식상 : 손재, 비겁합재 : 손재, 비겁합효인 : 손재, 살인상생 : 고생, 살충신 : 손재, 식상극관살 : 득재, 식상난동 : 손재, 식상생재 : 득재, 식상설신 : 생재, 식상충관살 : 득재, 식상충효인 : 사업 투자, 식상합관살 : 투자유리, 식상합비겁 : 득재, 식상합재 : 득재, 식상합효인 : 불성사, 재극효인 : 득재, 재생관살 : 손재, 재충비겁 : 돈 써서 돈 번다, 재충신 : 득재, 재충재 : 득재 후 손재, 재충효인 : 투자, 재합관살 : 득재, 재합비겁 : 득재, 재합식상 : 투자, 재합신 : 득재, 재합효인 : 투자, 효인극식상 : 손재, 효인난동 : 투자 실패, 효인생비겁 : 투자 실수로 손재, 효인충식상 : 투자, 효인충재 : 득재, 효인합관살 : 선 손재 후 득재, 효인합비겁 : 고생 끝에 득재, 효인합식상 : 성사 발전, 효인합재 : 투자 혹은 손재.
이와 같이, 여씨 명리학은 십신 작용 방식의 조합에 따라서 길흉의 결과를 해석하게 된다. 재운의 예측에서는 재성이 좋은 역할을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관재 예측에 있어서는 재성이 나쁜 역할을 하게 된다. 사안에 따라 십신의 대표 의미가 달라지고 길흉이 달라진다는 이 부분은, 전통 명리학에서 어느 하나의 십신이 용신으로 정해지면 그 십신은 영원히 좋은 작용만 한다고 보는 용신론과 확연히 구별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