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화장실 문이 잠궈졌어요,

일통 2006. 10. 26. 10:49

오늘은 밤 늦게까지 더위를 피하려고 설치다가 밤을 꼬박새고 새벽녘이 되어서야

 

잠이 들었다. 어떤 이들은 내가 잠을 늦게까지 잔다고 게으른 것 처럼 보일지 몰라도,,

 

실제적으로 하루에 내가 잠자는 시간은 보통 5시간 정도이다. 많은때는 7시간정도, 그것도 활동시간대가 틀린 연유로 그렇게 보이나 보다.

 

와이프가 갑자기 내몸을 흔든다.

 

화장실 문이 잠궈졌어요,,하고,,,딸아이가 멋모르고 그냥 문을 잠그고 문을 닫아버린 것이다.

 

 

구성학으로 보면

 

병자일 구자화성일에 갑오시가 되어 삼벽목성시가 된다.

 

 8  2  4  7  6  9
 7  1  9  3  2  5
 3  6  5  8  1  4

 

오궁에 암검살, 일파살, 자궁에 시파살, 묘궁에 암검살이 된다.

 

1. 중궁 9/3

 

"중궁은 대략적인 큰 타이틀이 된다."

"쉽게 말하면 대기권밖에서 한눈에 지구란 모습을 본 것이다."

"이것 만으로 자세한 내막이 들어오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사안의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과 같은 구실을 하는 것이다."

 

중궁에 9는 오늘 하루는 문서, 재판과 같이 시비와 판단과 구설이 주가 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중궁에 3은 무엇인가, 구자화성과 연동하여 실행하고 진행해야만 하는 상황을 말한다.

 

묘궁에 해당되는 진궁은 우뢰, 움직임, 시작, 개업의 의미를 가지므로 개인적으로 "진행"이란 커다란 포커스에 맞추었다.

 

2.   9-이궁, 3-진궁

 

"보다 세밀한 정단을 위해 해석의 범위를 좀더 좁힐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9와 3의 본궁의 상황을 살펴보면, 좀더 수긍이 갈만한 범위로 확실하지는 않지만 좁혀지게 된다."

 

*오늘의 이궁의 상황은 (4-a, p, 7)

 

사록이 암검살을 기본적으로 띠고 있으면서 오늘 하루 파살을 주관하고 있다.

 

"보통 파살은 정적이던 구성반을 동하게하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그 동하는 방식은 암검살, 오황살, 파살이 있는 궁을 파살로 충파하거나, 그 바라보는 반대편의 궁에서 파살로 자극할 때 보통 동하게 된다. 중요한 부분이니 기억해두시라." 

 

사록목성은 출입, 왕래, 교역의 물상을 가진 별이 된다.

시반으로 딸려들어온 칠적금성은 막내딸, 구설시비, 금전, 놀이, 입구(口)의 의미가 있다.

 

"이것으로 보면, 출입이 이루어지는 문이라는 의미로도 추론이 가능하게 된다. 실제로 화장실 문이 잠궈졌으니,,재밌는 사실이라 볼 수 있다. "

"그러므로 출입왕래가 이루어지는 문에 대한 시비판단의 분별작용으로 인해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

 

사건이 일어난 시간은 반대편의 오황살이 있는 감궁을 파살로 자극할 때이다. 갑오시가 된다.

 

 

 8  2  4  7  6  9
 7  1  9  3  2  5
 3  6  5  8  1  4

 

앞서 이궁의 수리를 통해 화장실문이라는 사실을 도출했었다.

 

왕래, 출입 + 口=門

 

*다음으로는 지극히 동적인 중궁 3의 집에 해당되는 진궁의 상황은 7과 1이다.

 

"여기서 7은 정적이고, 1a은 동적이다. 그리고 진궁은 시작되고, 놀라는 상이 된다."

 

화장실문으로 인해, 1a이 되어 정을 의미하는 일백수성에 암검이 되어 마음의 동요가 되고, 더불어 경직되고 놀라는 상이 연출된다.

 

"사실, 누워있다가  갑작스런 와이프의 말에 짜증도 나고 내심 당황은 했었다."

 

*위와 같은 추리는 대략적이고 전체적인 분위기를 잡는데는 요긴하나, 보다 세밀한 정단을 하는데는 보다 추가적인 도구들이 가미되어야 한다.

 

앞서 중궁 수리의  본궁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중궁 수리의 동적 이동상황을 살펴보아야 한다.

 

중궁의 9와 3은 곤궁과 간궁으로 이동되어 일을 벌리고 있다. 이것은 보다 다이나믹한 상황을 내다 볼 수 있는 설정이 되는 것이다.

 

본궁을 살피는 것과 수리의 이동을 살피는 것은 다소 엄격한 차이를 드러낸다. 본궁은 대략적인 테마와 정세를 살필 수 있는 재료를 제공하나, 구체적인 동적상황에서는 취약점을 드러내고, 모호하다는 약점이 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곤궁의 9와 간궁의 3의 상황을 살펴보자.

 

곤궁은 가정적인 판단상황이 되고, 간궁은 변화와 개혁을 의미한다.

여기에 대충살이라는 재료가 등장하게 된다.

 

"6:6의 대충살,,,,이것도 구체적 동적인 움직임을 주관하는 중요한 재료가 된다."

 

6-6대충살은 대충살의 의미처럼 암감살, 오황살, 파살 처럼, 강하지는 않지만,,결코 간과해서는 안되는 동적요소가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육백금성의 제 본인의 본명성이 된다는 것입니다.

 

결국 내가 나서게(동함) 되는 것이죠,,

 

*갑오시에는 파살로 인해 감궁이 동하게 됩니다. 감궁은 생식과 오물, 오수를 뜻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화장실과 밀접한 관련이 되겠죠,,,

 

*감궁은 오황살이 있으므로 원이제공궁이 되고 있습니다. 갑오시에 이 감궁이 동하게 되므로 원인에 해당되는 부분이 밖으로 동하게 되죠,,,,

 

감궁의 문제는 8백토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팔백토성은 지체, 막힘, 닫힘, 개혁 변혁, 고침, 변경, 변화, 개조, 수리 등의 상의가 있습니다...

 

팔백파살은 이러한 상의를 끌어내게 되어 무엇인가 변혁하고 고쳐야 되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보통 대궁에 해결책이 있다.

 

감궁의 팔백파살의 대궁에는 7이 있습니다.. 이럴때는 칠적금성이라는 예리한 도구가 필요하게 되죠,,

 

"제가 열쇠도 없는 상황에서 예리한 조각용 끌을 이용해서 문고리 옆쪽에 나무부분을 조각도로 예리하게 파내서 결국 문을 열었습니다."

 

출처 : 용재원(甬宰院)
글쓴이 : 운영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