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석하 명리 - 2019년 己亥년은 상대 木용신자가 뜬다

일통 2018. 12. 31. 10:23

2019己亥년은 상대 용신자가 뜬다! | 명리마당

하원정 | 2018.12.29. 15:52 | http://cafe.daum.net/2040/MsI/56944

 

2019년 己亥년은 상대 木용신자가 뜬다!


사주를 해석할 때,

 

절대적으로(그대로) 해석하는 부분과 상대적으로(반대로) 해석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그대로 해석하는 부분은 사주팔자와 10년 대운이 되고, 반대로 해석해야 하는 부분은 년운과 일운 중에 년천간, 일천간 등이 된다. 왜냐하면 사주팔자와 10년 대운은 본인에게 절대적으로 해당되는 것이고, 연월일시 천간의 기운은 그 기운이 시작되는 흐름을 표현해 놓은 것으로 상대적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월일시 천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해석해야 하는 이유를 하나 들어보겠다. 甲木 기준, 하루의 시작(자전 원운동), 천간의 시작, 자정을 지나면서 양기운이 시작되어 양천간으로 천간을 표현하지만, 그곳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기운은 음기운으로 음천간 기운이 가장 많이 존재한다. 또 정오를 지나면서는 음기운이 시작되어 음천간으로 천간을 표현하지만 가장 많이 존재하는 기운은 양기운으로 양천간 기운이 가장 많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람에게 가장 많이 영향을 끼치는 기운은, 표시된 천간기운이 아니라 반대의 천간기운이 된다. 따라서 년간에 표시된 천간과 반대로(천간합) 가장 큰 영향이 있다고 해석해야 한다. (*동지는 양의 기운이 시작되나 추운 음의 기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하지는 음의 기운이 시작되나 더운 양의 기운을 가장 많이 받게 된다.)

 

그리고 사주에서 년간과 일간은 양중에 양으로 상대적인 천간이 우선이 되고, 월지와 시지는 음중에 음으로 절대적인 지지가 우선이 된다.

 

2019己亥년은 기운은 지금 시작되어 들어오는 기운이 되어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기운은 적으며, 반대(천간합)기운은 많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2019년은 현재 가장 많이 존재하는 甲木 기운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으므로, 상대 용신자가 행운의 시기로 좋다.

 

2019년 상대용신별 인생사계절, 10년 주기 성패리듬(석하리듬)

 

(희망의 시기) - ,상대용신자

여름(행운의 시기) - ,,상대용신자

가을(결실의 시기) - ,상대용신자

겨울(슬럼프 시기) - ,,상대용신자


# 성공과 실패의 10년 주기(인생 사계절- 석하리듬)

 

* 봄   (2) : 새로운 희망, 새로운 출발 시기, 씨 뿌리는 시기,

                  꽃샘추위, 포기하고 마음 잡는 시기

 

* 여름(3) : 행운의 시기, 운이 오는 시기, 사회적 역량 발휘시기,

                   없는 능력도 생기는 시기, 늦여름부터 전성기

 

* 가을(2) : 결실의 계절, 최고의 전성 시기, 최고의 성과,

                   저녁노을, 늦가을의 무리수 주의

 

* 겨울(3) : 슬럼프 시기, 오판, 직관의 부작용 시기, 건강약화,

                   쉬어가는 시기, 재도약을 위한 준비, 공부하는 시기


 

* 참고사항

 

일반적으로 용신을 말할 때는 절대용신을 말한다! 그리고 절대용신하고 상대용신이 같은 사람도 있고 다른 사람도 있다.(- 상대용신은 기준이 되는 음양의 기준 축을 찾고 상대용신을 구한다.)

 

2012년도 박사학위 논문으로 검증된 것이다.

 

논문 제목은 사주명리의 세운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

(- 계절의 주기성과 시차를 고려하여)

동방대학원 대학교 미래예측학 박성희

 

2019己亥년을 해석할 때 태양의 에너지인 천간이 지지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있고, 지지 변화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것은 지금 시작되어 조금 존재하는 기운 己土가 아니라 이곳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기운 甲木이 된다! 그리고 지지 는 천간의 지나간 기운의 영향으로 지구상의 만들어져서 변화해 가는 과정, 실제 현상을 표현한 것이므로 그대로(절대적으로) 해석하게 된다! (*참고로 지지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천간이 된다. , 육체를 움직이는 것은 정신이라 비유할 수 있다.)

 

천간의 운동의 흐름은 겉으로는 시간적 변화로 보이는데, (보이지 않는) 으로는 공간적 변화를 하며 흘러갑니다. 천간은 시간적 변화보다 공간적 변화를 우선하며 나타난다. 천간의 흐름이 甲乙丙丁~으로 흘러가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甲己庚乙丙辛壬丁~으로 생극제화를 하며 흘러간다. , 2019년 천간 음간은 수렴하며, 천간 기운을 우선 상대하고 변화하며 흘러간다.

 

# 2002년에 음양과 오행 속에 보이지 않고 존재하는 중간자를 석하 소재학 박사님이 발견했다. 그 중간자 (매개체, 오행, 중앙)가 반영된 논리로 푸는 사주명리학(석하명리)이 출간되어 논리학문으로 정착되어 계속적으로 발전하며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주 격용 분석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컴퓨터(석하리듬 앱)가 사주분석을 해준다.


사주 격용 분석의 우선 원칙

 

1. 천간(, )과 지지(방합, 삼합, 반합, 육합, )의 변화를 적용하여, 천간이 활성화된 것을 우선으로 인비와 식재관 점수를 비교하여 많은 곳이 격(내격)이나 격용(종격)이 된다.

 

2. 1.항 사항이 없을 때는, 일간에 점수가 있을 때 비겁이 격용(종비격, 종왕격)이 된다.

 

3. 1.항 과 2.항 사항이 없을 때는, 지지의 정기오행의 힘의 크기만으로 큰 곳이 격(내격)이나 격용(종격)이 된다.

 

4. 1.항과 2.항과 3항이 없을(지지가 충으로 전부 깨졌을 때) 때는 천간이 많은 곳이 격(내격)이나 격용(종격)이 된다.

 

5. 활성화된 지지점수가 같을 때는 월간 > 시간 > 년간 순서로 강약기준을 하되 월간 < (시간+년간)이 된다.

 

* 지지 점수는 월지(100), 시지(60), 일지(30), 년지(20)이 된다.

 

* 10년 대운 A, B, C는 받는 운(쓰는 운)이고, D, E, F는 베푸는 운(쌓는 운)에 해당합니다.



      사주 분석표

 

 





출처 : 조흔사주 원리학당 [사상 명리학]
글쓴이 : 松栢 조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