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자는 체용과 빈주로 인생의 과정을 묘사하게 되는데 팔자를 볼 때 먼저 이 팔자가 무엇을 하고 싶은가를 알아야 한다.
팔자를 입수하면 먼저 일간과 일지를 본다. 이 일주가 체인지 용인지를 먼저 살핀 다음에 또 다른 글자들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가를 살펴야 한다. 만약 체가 일주에 있다면 사람의 손처럼 반드시 무언가를 해야 한다. 가만히 있다면 쓸모가 없어지므로 팔자의 나머지 글자들과 모종의 일을 해주어야 한다.
만약 놀고 있다면 쓸모가 없는 팔자가 되어버리니 좋지 않은 팔자다.
(이 부분을 좀 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이런 뜻입니다. 위에서 체용을 설명했지요? 체라는 것은 인성 비겁 건록 양인 혹은 식상이 해당하는데 그것이 일지에 있다고 본다면 이 일지는 마치 사람의 손처럼 그것을 반드시 사용을 해주어야 하는데 사용한다는 뜻은 팔자에서는 형·충·회·합을 통하여 다른 지지와 반응을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을 주공이라고 부르는데 바로 체가 일지를 차지하면 형·충·회·합·묘로 자신의 힘을 사용을 해주어야 발전한다는 뜻입니다.)
또 반대로 일지에 재성이나 관살이 있다면 이것은 소위 말하는 용이 일지궁에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체를 사용하여 재관과 관계를 이루어야 한다. 그렇다면 체를 사용하여 재관과 관계를 이루게 된다면 나타나는 현상은 체로 극을 하거나 체로 화를 하거나 체로 합하거나 해야 합니다. 또 마찬가지로 재관이 체와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면 또 쓸모가 없는 팔자라는 뜻으로 발전하기 힘든 팔자가 되는 것이다.
상관과 식신은 팔자 중에서 중성에 해당하는 물건인데 食神은 체에 가깝고 伤官은 용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 식상은 제극을 당할 수도 제극을 할 수도 있으며 또 재성을 생하고 혹은 관살을 제극하고 혹은 설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체용과 빈주사이에 작용하는 관계를 이름하여 “做功”이라고 부르게 된다.
이 주공을 이루게 되는 팔자중의 십신을 功神이라고 부르고 만약 주공을 이루지 못하는 십신이라면 “废神”이라고 한다.
또 팔자에서 어떠한 글자가 주공을 이루는데 주공을 이루고자 사용해야 하는 소모 열량이 효율이 높은가를 살펴야 하는데 만약 한글자로 사용을 한다면 그 효율은 높을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자오충이라고 한다면 서로의 역량이 강하기 때문에 충을 하게 되면 쌍방간 힘들기 때문에 효율이 높을 수가 없게된다.
반드시 사용하고픈 한쪽에서 주위의 도움을 받아서 자신의 세를 강하게 만든 다음에 약한 상대방을 가볍게 제압을 한다면 이것은 힘들이지 않고 상대를 장악하게 되며 이러한 상황이 되어야 주공을 이룬다고 본다.
만약 主位의 “体”로 宾位의 “用”을 통하여 주공을 이루게 된다면 이것을 일컬어 正向做功이라고 한다.
반대로 주위의 용을 통하여 빈위의 체와 작용을 통하여 주공을 이룰 경우에는 이것을 일컬어 反向做功이라고 한다.
(여기도 부연설명을 하면 .......맹파는 일지궁에 무엇이 있는지를 매우 중요하게 봅니다. 출발점은 천간인데 천간에서는 주로 합과 식상만을 보고 만약 합이나 식상이 없다면 일지만을 봅니다. 그러니 맹파명리는 굉장히 현실적인 명리이론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지지의 형충회합을 통하여 팔자를 분석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일지에 과연 어떤 글자가 있느냐 그리고 그 글자가 다른 지지와 어떤 작용을 하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만약 일지에 체 즉, 인비겁인 따위가 있다면 정확하게 자신의 위치에 있는 것이고 이것을 통하여 다른 곳 즉, 빈위 년월에 있는 글자들과 반응하여 주공을 이루면 정상적이라는 뜻으로 정향주공이라고 하고 반대로 일지에 재관이 있어서 년월에 있는 체 즉, 인비겁록 따위와 반응하게 되면 반대로 반향주공이라고 부릅니다. )체용, 빈주는 형,충,회,합,천,묘 등을 통하여 주공을 이루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