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여명장
1. 원문에 대하여
여명장의 원문은 적천수천미와 적천수집요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집요가 천미보다 먼저 나왔으니 집요를 중심으로 비교하는 것이 옳겠지만, 현재 역학계에서는 집요보다 천미를 더 중시하기 때문에 천미를 중심으로 비교해 보겠다.
천미의 論夫論子要安祥이 집요에는 女命須要論安祥으로 되어 있고, 婦道章이 婦道彰으로, 三奇二德虛好語가 二德三奇虛好話로, 半推詳이 漫推詳으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천미와 집요의 원시는 아래와 같다.
論夫論子要安祥 氣靜平和婦道章
三奇二德虛好語 咸池驛馬半推詳 : 천미
남편과 자식을 의론함에 평안과 길상吉祥을 원하며
5기가 정연靜然하고 화평하면 부도婦道가 현저하게 된다.
삼기三奇와 이덕二德은 듣기 좋은 말일 뿐이며
함지와 역마는 절반만 상세히 연구해야 한다.
女命須要論安祥 氣靜平和婦道彰
二德三奇虛好話 咸池驛馬漫推詳 : 집요
여명은 반드시 평안과 길상을 의론해야 하며
5기가 정연하고 화평하면 부도婦道가 현저하게 된다.
이덕二德과 삼기三奇는 듣기 좋은 말일 뿐이며
함지와 역마는 만만漫漫히 상세하게 연구해야 한다.
천미의 원시 중에 초구와 2구 3구는 글자가 조금 다르지만 그 의미는 크게 차이가 없다. 그러나 말구는 반半자와 만漫자 단 한 글자가 다르지만, 그 의미는 크게 차이가 날 뿐만 아니라, 또한 그 의미를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해석하기도 매우 어렵다.
우선 초구의 ‘평안과 길상’ 그리고 2구의 ‘정연과 화평’은 상호 인과의 관계가 있다. 곧 ‘평안과 길상’의 결과를 얻으려면 ‘정연과 화평’의 원인이 있어야 한다. 사주의 5기가 ‘정연하고 화평’하면 일상의 생활이 ‘평안하고 길상’하게 되는 것이다.
또 천미의 원시에 “함지와 역마는 절반만 상세히 연구해야 한다.”라는 구절 중에 절반만 연구해야 한다는 말을 이치에 닿도록 해석할 수가 없다. 만일 함지와 역마에 명리의 이치가 있다면 철저히 연구하는 것이 옳을 것이며, 이치가 없다면 철저히 배제하고 아예 쳐다보지도 않는 것이 옳을 것이다.
집요는 그래도 천미와 비교하면 해석하기가 훨씬 더 좋다. “함지와 역마는 만만漫漫히 상세하게 연구해야 한다.”라고 하면, 함지와 역마에도 명리의 이치가 있기는 하지만, 그 적용이 급박하지 않으므로 만만히 곧 천천히 차근차근 상세히 깊이 연구하여 간명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라는 뜻으로 이치에 맞게 해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천미의 반半자보다 집요의 만漫자가 더 옳다고 생각한다.
2. 원주에 대하여
원주는 여명의 경우 남편 곧 부성을 첫째 관성에서 찾고, 다음 상관 재성 인성에서 찾는다고 하며, 자식 곧 자성을 첫째 상관에서 찾고, 다음 인수 비견 재성에서 찾는다고 하였다. 이어 결론으로 “오로지 관성만을 고집하여 남편으로 의론하거나 오로지 식상만을 고집하여 자식으로 의론할 필요는 없다.”라고 하였다.
이덕과 삼기에 대해서는 의론할 필요가 없다고 단정하고, 함지와 역마에 대해서는, “함지와 역마는 비록 효험은 있을지라도 이를 총괄하면 그 이치가 심장深長하지는 못하다. 그 가운데 중론을 궁구함이 상세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천미 원문 : 咸池驛馬縱有驗 總之于理不長 其中究論 不可不詳)”라고 하였다.
이 구절이 천미와 집요에 조금 차이가 있다. 집요는 “함지와 역마는 모두 관련이 없다. 설사 효험이 있을지라도 이치가 심장하지는 못하다.(집요 원문 : 咸池驛馬總無關 卽或有驗 於理不長)”라고 하였다.
곧 천미에는 집요보다 마지막 “그 가운데 중론을 궁구함이 상세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라는 구절이 더 있다. 이 구절 중에 ‘그 가운데’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효험은 있을지라도’와 ‘심장하지는 못하다’의 그 사이가 바로 ‘그 가운데’에 상당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 사이’에서 중론을 상세히 궁구하는 것이 원주의 본의일 것이다.
3. 임주에 대하여
임주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여명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이론과 그 사례이다. ‘가. 여명의 다양한 유형과 그 이론’을 12개 항목으로 나누어 상세히 분별하였다. 그리고 ‘나. 여명의 다양한 유형과 그 사례’를 ‘1. 관성을 부성夫星으로 하는 명조’(16개 명조)와 ‘2. 관성 이외의 육신을 부성夫星으로 하는 명조’(13개 명조)로 두 가지로 나누었다. 1.항을 ‘(1) 정절을 지키지 못하는 유형’(10개 명조)과 ‘(2) 부성과 자성이 현귀한 유형’(6개 명조)으로 나누고, 2.항을 ‘(1) 부성과 자성이 현귀한 유형’(10개 명조)과 ‘(2) 요절하는 유형’(3개 명조)으로 나누었다. 각 항목의 제명은 아래와 같다.
1. 여명의 총괄적 개념
2. 여명은 관성이 분명하게 드러나야 한다
3. 관성에 결함이 있으면 인수 식상 재성에서 찾는다
4. 남편을 극하거나 업신여기는 형상의 유형
5. 여명의 부성은 곧 용신이며, 여명의 자성은 곧 희신이다
6. 자녀의 명운이 좋은 유형
7. 자녀가 반드시 있는 유형
8. 자녀가 적거나 반드시 없는 유형
9. 음천淫賤한 명운의 유형
10. 용모는 아름다운데 경박하거나 총명한 유형
11. 근거 없는 관계로 협박해서는 안 된다
12. 가정을 주관하는 사람이 경계해야 할 사항
나. 여명의 다양한 유형과 그 사례
1. 관성을 부성夫星으로 하는 명조
(1) 정절을 지키지 못하는 유형
(2) 부성과 자성이 현귀한 유형
2. 관성 이외의 육신을 부성夫星으로 하는 명조
(1) 부성과 자성이 현귀한 유형
(2) 요절하는 유형
임주는 “이덕이나 삼기는 바로 호사가들의 조작한 망언이고, 함지나 역마도 후인들의 황당한 망언이다.”라고 단정하며, 이덕과 삼기 그리고 함지와 역마를 모두 배격하고 있다.
임주는 여성의 좋은 명조로 먼저 부성을 첫째 관성에서 찾고, “관성이 분명하게 드러나면 남편의 자질이 뛰어나고, 오기五氣가 정연靜然하고 화평하면 부도가 유순할 것이다.”라고 하여, 여명은 관성이 분명하게 들어나는 명조를 제일 먼저 거론하였다. 관성에 결점이 있으면 부성을 차례로 인수나 식상 재성 등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 점은 원주와 동일하다.
특히 철초 선생은 이 여명장에서, “무릇 여명의 부성夫星은 곧 용신이며, 여명의 자성子星은 곧 희신이다. 오로지 관성만을 부성으로 하고 식상만을 자성으로 하여 의론해서는 안 된다.(凡女命之夫星卽是用神 女命之子星卽是喜神 不可專論官星爲夫傷官爲子)”라고 의론하며, 용신과 희신을 부성과 자성으로 단정하는 새로운 명리이론을 창출하였다. 이 점에 대해서는 따로 편명을 만들어 쓰고자 한다.
論夫論子要安祥 氣靜平和婦道章
三奇二德虛好語 咸池驛馬半推詳
남편과 자식을 의론함에 평안과 길상吉祥을 원하며
5기가 정연靜然하고 화평하면 부도婦道가 현저하게 된다.
삼기三奇와 이덕二德은 듣기 좋은 말일 뿐이며
함지와 역마는 절반만 상세히 연구해야 한다.
[원주] 명국命局 중에 관성이 분명하고 알맞으면 남편이 지위가 높고 좋게 되니, 도리가 당연히 그러하다. 만일 관성이 너무 왕성하면 상관을 남편으로 하고, 관성이 너무 미약하면 재성을 남편으로 하며, 비견이 왕성하고 관성이 없으면 상관을 남편으로 하고, 상관이 왕성하고 재관이 없으면 인성을 남편으로 한다. 2~3개 이상의 관성이 일주를 업신여기는 명국은 인수를 기뻐하는 것이니 부성夫星인 관성이 일주를 극하지 않으며, 2~3개 이상의 인수가 관성의 기운을 뺏어가는 명국은 재성을 기뻐하는 것이니 일주가 남편인 부성을 상극하지 않는다.
대체는 남명男命과 함께 자식을 의론하고 지위의 현귀를 의론하는 이치가 서로 비슷하다. 명국 중에 상관이 맑게 드러나면 자식이 현귀하게 되고 부모도 말할 필요가 없다. 만일 상관이 너무 왕성하면 인수를 자식으로 하고, 상관이 너무 미약하면 비견을 자식으로 한다. 인수가 왕성하고 상관이 없는 명국은 재성을 자식으로 하고, 재신이 왕성하여 식상을 설기하는 명국은 비견을 자식으로 하는 것이다.
오로지 관성만을 고집하여 남편으로 의론하거나 오로지 식상만을 고집하여 자식으로 의론할 필요는 없다. 다만 평안하여 상서롭고 순정順靜하면 현귀하고, 이덕과 삼기는 의론할 필요가 없으며, 함지와 역마는 비록 효험은 있을지라도 이를 총괄하면 그 이치가 심장深長하지는 못하다. 그 가운데 중론을 궁구함이 상세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역자 주] 만국관성滿局官星과 만국인수滿局印綬의 만국을 전국全局 또는 ‘명국에 가득 찬’ 등으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주팔자 중에 모두가 관성이 되고 인수가 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위에서는 ‘2~3개 이상’으로 번역했다.
[임주]
가. 여명의 다양한 유형과 그 이론
1. 여명의 총괄적 개념
여명女命이란 먼저 부성夫星의 성쇠盛衰를 살펴보면 곧 그 귀천貴賤 을 알 수 있고, 다음 격국의 청탁을 살펴보면 곧 그 현우賢愚를 알 수 있다. 사음邪淫과 질투가 사주의 성정性情을 여의지 않으며, 정숙貞淑과 단장端莊이 모두 오행의 원리에 있다. 이 때문에 깊이 살펴서 마땅히 정치精緻하게 해야 정숙한 부인이 황당한 망언을 만나지 않을 것이며, 상세히 궁구하여 마땅히 확실하게 해야 음탕한 여인이 정론正論을 피하지 못할 것이다. 이덕이나 삼기는 바로 호사가들의 조작한 망언이고, 함지나 역마도 후인들의 황당한 망언이다.
2. 여명은 관성이 분명하게 드러나야 한다
시부모에게 불효한 것은 다만 재성이 가볍고 비겁이 중한 것이며, 장부丈夫를 공경하지 않음은 모두 관성이 약하고 일주는 강하기 때문이다. 관성이 분명하게 드러나면 남편의 자질이 뛰어나고, 오기五氣가 정연靜然하고 화평하면 부도가 유순할 것이다.
3. 관성에 결함이 있으면 인수 식상 재성에서 찾는다
① 만일 관성이 너무 왕성하고 비겁이 없으면 인수를 남편으로 하고, ② 비겁이 있고 인수가 없는 명국은 식상을 남편으로 하며, ③ 관성이 너무 약하고 상관이 있으면 재성을 남편으로 하고, ④ 재성이 없고 비겁이 왕성한 명국은 또한 식상을 남편으로 하며, ⑤ 2~3개 이상 비겁이고 인수도 없고 관성도 없는 명국은 식상을 남편으로 하고, ⑥ 2~3개 이상 인수이고 관성도 없고 식상도 없는 명국은 재성을 남편으로 하며, ⑦ 상관이 왕성하고 일주가 쇠약하면 인수를 남편으로 하고, ⑧ 일주는 왕성하고 식상이 많으면 재성을 남편으로 하며, ⑨ 관성이 가볍고 인수가 중하면 또한 재성을 남편으로 하는 것이다. 재성은 바로 남편의 은성恩星이다. 여명의 일주가 왕성하고 관성이 없는데 재성이 시령을 얻거나 방국을 얻으면 상격上格이다.
4. 남편을 극하거나 업신여기는 형상의 유형
만일 형상刑傷을 의론하면 또 생극이 있는 이치가 존재하는 것이다. ① 관성은 미약하고 재성은 없는데 일주는 강하고 상관이 중하면 반드시 남편을 극하고, ② 관성은 미약하고 재성은 없는데 비겁이 왕성하면 반드시 남편을 업신여기며, ③ 관성은 미약하고 재성은 없는데 일주는 왕성하고 인수가 중하면 반드시 남편을 업신여기거나 극하고, ④ 관성은 약하고 인수는 많은데 재성이 없으면 반드시 남편을 극하며, ⑤ 비겁이 왕성하고 관성은 없는데 인수가 왕성하고 재성이 없으면 반드시 남편을 극하고, ⑥ 관성은 왕성하고 인수가 가벼우면 반드시 남편을 극하며, ⑦ 비겁은 왕성하고 관성은 없는데 상관이 있고 인수가 중하면 반드시 남편을 극하고, ⑧ 식신은 많고 관성은 미약한데 인수가 있고 재성을 만나면 반드시 남편을 극하는 것이다.
5. 여명의 부성은 곧 용신이며, 여명의 자성은 곧 희신이다
무릇 여명의 부성夫星은 곧 용신이며, 여명의 자성子星은 곧 희신이다. 오로지 관성만을 남편으로 하고 식상만을 자식으로 하여 의론해서는 안 된다.
6. 자녀의 명운이 좋은 유형
① 일주가 왕성하고 상관도 왕성한데 인수가 없고 재성이 있으면 자식이 많고 현귀하게 되고, ② 일주가 왕성하고 상관도 왕성한데 재성과 인수가 없으면 자식이 많고 건강하며, ③ 일주가 왕성하고 상관은 가벼운데 인수가 있고 재성이 방국을 얻으면 자식이 많고 부유하고, ④ 일주가 왕성하고 식상은 없는데 관성이 방국을 얻으면 자식이 많고 어질며, ⑤ 일주가 왕성하고 식상은 없는데 재성이 있고 관살이 없으면 자식이 많고 유능하다.
7. 자녀가 반드시 있는 유형
① 일주는 약하고 식상은 중한데 인수가 있고 재성이 없으면 반드시 자식이 있으며, ② 일주는 약하고 식상은 가벼운데 재성이 없으면 반드시 자식이 있고, ③ 일주는 약하고 재성은 가벼운데 관성과 인성이 왕성하면 반드시 자식이 있으며, ④ 일주는 약하고 관성은 왕성한데 재성은 없고 인수가 있으면 반드시 자식이 있고, ⑤ 일주는 약하고 관성은 없는데 상관과 비겁이 있으면 반드시 자식이 있다.
8. 자녀가 적거나 반드시 없는 유형
① 일주는 왕성하고 인수가 있는데 재성이 없으면 반드시 자식이 적고, ② 일주는 왕성하고 비견은 많은데 관성은 없고 인수가 있으면 반드시 자식이 적으며, ③ 일주가 왕성하고 인수도 중한데 재성이 없으면 반드시 자식이 없고, ④ 일주는 약하고 상관은 중한데 인수가 가벼우면 반드시 자식이 없으며, ⑤ 일주는 약하고 재성은 중한데 인수를 만나면 반드시 자식이 없고, ⑥ 일주는 약하고 관살이 왕성하면 반드시 자식이 없으며, ⑦ 일주는 약하고 식상은 왕성한데 인수가 없으면 반드시 자식이 없다.
⑧ 화가 염렬炎熱하고 토가 건조乾燥하면 자식이 없으며, ⑨ 토금土金이 음습하여 막히면 자식이 없고, ⑩ 수가 범람하여 목이 떠있으면 자식이 없으며, ⑪ 금수가 한냉寒冷하면 자식이 없고, ⑫ 인수가 중하면 자식이 없으며, ⑬ 재관이 너무 왕성하면 자식이 없고, ⑭ 2~3개 이상이 식상이면 자식이 없는 것이다. 이상 자식이 없는 사람이 자식을 두게 되면 반드시 남편을 극하고, 남편을 극하지 않으면 또한 요절한다.
9. 음천淫賤한 명운의 유형
음란하고 사특한 말에 이르기까지도 또한 사주의 육신六神을 궁구해야 한다. ① 일주는 왕성하고 관성은 미약한데 재성이 없어서 일주가 이를 대적할 수 있는 자, ② 일주는 왕성하고 관성은 미약한데 식상은 중하고 재성이 없어서 일주가 이를 업신여길 수 있는 자, ③ 일주는 왕성하고 관성은 약한데 일주의 기는 다른 육신을 생조하여 이를 제거하는 자, ④ 일주는 왕성하고 관성은 약한데 관성의 기는 일주와 합하여 화화는 자, ⑤ 일주는 왕성하고 관성은 약한데 관성의 기는 일주의 세력에 의지하는 자, ⑥ 일주는 약하고 재성은 없는데 식상이 있으나 인수를 만나게 되어 일주 스스로 전횡하고 내가 주관하는 자, ⑦ 일주는 왕성하고 재성은 없는데 관성은 가볍고 식상은 중하여 관성이 의지依支가 없는 자, ⑧ 일주는 왕성하고 관성은 무근無根한데 일주가 관성을 돌아보지 않고 재성과 합하여 간 자, ⑨ 일주는 약하고 식상은 중한데 인수가 가벼운 자, ⑩ 일주는 약하고 식상은 중한데 인수는 없고 재성이 있는 자, ⑪ 식상은 당령當令하고 재관은 실세失勢한 자, ⑫ 관성은 재성의 생조가 없고 비겁이 식상을 생하는 자, ⑬ 2~3개 이상이 상관이고 재성이 없는 자, ⑭ 2~3개 이상이 관성이고 인성이 없는 자, ⑮ 2~3개 이상이 비겁이고 식상이 없는 자, ①⑥ 2~3개 이상이 인수이고 재성이 없는 자 등은 모두 음천淫賤한 명운이다.
10. 용모는 아름다운데 경박하거나 총명한 유형
이를 총괄하면 상관이 중첩해서는 안 된다. 중첩하면 반드시 경박하고 용모는 아름다우나 음란함이 많다. 상관이 있는데 일주가 약해도 인수가 있거나 일주가 왕성해도 재성이 있는 명국은 반드시 총명하고 용모가 아름다우며 정결하다.
11. 근거 없는 관계로 협박해서는 안 된다
무릇 여성의 명조를 보면서 관계關系가 적지 않다고 하여 경솔하게 음탕하고 사특하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신을 모독하여 격노하게 할 것이다. 또한 일례로 명을 말해서도 안 된다. 또는 조종祖宗의 서자庶子로 연유하거나, 또는 가문의 운수로 연유하거나, 또는 남편의 불초不肖로 연유하거나, 또는 어머니나 시어머니가 어질지 못하여 어려서 규훈閨訓을 상실함을 연유하거나 한다.
12. 가정을 주관하는 사람이 경계해야 할 사항
또는 습기習氣가 선량하지 못하여 규문閨門을 삼가며 경계함이 없이 그 방자한 성정에 맡기고 상례를 벗어나며 절에 들어가서 향을 피우면서 장난하고 놀거나 놀이를 보고 노래를 들으며 남녀가 섞여 있다. 처음에는 곧 섬돌 아래에서 진을 펼쳐놓다가 오래되면 곧 안방에서 잡설을 늘어놓는다. 시작은 어떤 때는 현효賢孝나 절의節義의 고사故事를 말하기도 하지만, 계속하면 점차 음란하고 사특해져서 함부로 영합하는 더러운 이야기까지 이르는데, 촉념觸念과 동심動心이 없도록 지킬 수 있겠는가.
이 때문에 집에 거처하며 첫째 사건事件은 엄숙한 규문閨門에 있고, 규방閨房의 휘장 안에서 희롱하는 말이 나와서는 안 되며, 곧 형벌하여 언행을 교화해야 한다. 규방의 휘장 안에서 노는 웃음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곧 서로 공경하는 기풍氣風이 현저하게 될 것이다. 가정을 주관하는 사람은 이를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나. 여명의 다양한 유형과 그 사례
1. 관성을 부성夫星으로 하는 명조
(1) 정절을 지키지 못하는 유형
戊 己 庚 辛 壬 癸 丁 壬 甲 戊-①
申 酉 戌 亥 子 丑 未 寅 寅 申
임수 일주가 인월 초봄에 태어나 무미토는 허탈하고 갑인목은 왕성하므로 무토 칠살을 극제함이 너무 지나치다. 인신이 충을 만나면 본래는 금이 목을 극한다고 하지만, 목이 왕성하면 금이 부서짐을 모르고 한 말이다. 금이 도리어 손상을 입게 되면 곧 무토도 의탁할 뿌리를 잃게 되며, 일주 임수는 성정에 맡겨 흘러갈 수 있다. 정화 재성이 세력이 있는 것을 보고서 자연히 재성을 따라서 가버린다. 남편이 죽고 가업을 실패하자 자식을 버리고 다른 사람을 따라갔다.
辛 庚 己 戊 丁 丙 丁 甲 乙 丁-②
亥 戌 酉 申 未 午 卯 午 巳 未
갑오 일주가 사월에 태어났는데 지지가 전부 사오미 남방이고, 천간에 2개 정화가 투출하여 화의 기세가 맹렬하므로 일주 갑목의 설기가 너무 지나치다. 격국 중에 수가 없으니, 다만 을목 겁재를 용신으로 쓸 수 있다.
초년의 대운이 또 화지火地로 달리니, 이 때문에 일찍 남편을 잃었다. 사람이 지극히 총명하고 용모도 아름답지만, 경박함이 심상치 않았고 정절을 지킬 수 없었다. 무신 대운에 이르러 목화와 함께 전쟁하니, 말로 다할 수 없었다.
癸 甲 乙 丙 丁 戊 戊 丙 己 戊-③
丑 寅 卯 辰 巳 午 戌 辰 未 戌
전국이 상관이니 오행에 목이 없으며, 인성도 나타나지 않으니, 격국이 순국順局을 이루었다. 이 때문에 그 사람이 총명하고 용모도 아름답다. 그러나 사주에 금이 없고 또 토가 건조하고 두터움이 지나치며, 신금 부성夫星은 일주의 묘고墓庫 술토에 들어 있다. 이 때문에 음란을 감당하지 못하고 남편이 흉사凶死를 만났다. 또 다른 사람을 따라 달아났으나 2~3년이 안되어 또 남편을 극하였다. 을묘 대운에 이르러 무기토의 왕성함을 침범하여 스스로 목을 매고 죽었다.
己 庚 辛 壬 癸 甲 丙 戊 乙 戊-④
未 申 酉 戌 亥 子 辰 戌 丑 午
무토 일주가 축월에 태어나서 왕토가 용사用事하나, 겨울의 을목은 바로 시들고 메말랐다. 또한 축토는 바로 금의 묘고墓庫로 신금이 복장伏藏하여 뿌리를 의탁할 수 없다. 다시 거듭 진술이 상충하여 진토에 소장된 관성 을목을 제거하고, 또 인수 병화를 만나서 일주를 생조하므로, 일주는 관성 을목을 업신여길 수 있다. 남편을 마음의 밖에 내버려 두었고, 또한 중년의 대운이 서방 신유술 금지金地에 음탕 천박함이 감당할 수 없었다.
壬 辛 庚 己 戊 丁 庚 丁 丙 己-⑤
申 未 午 巳 辰 卯 戌 亥 寅 亥
정화 일주가 인월에 생하여 목이 바로 당권當權하고, 정화는 왕상旺相을 만났으므로 반드시 해수 관성을 남편으로 삼음이 분명하다. 연지의 해수는 인과 합하여 목으로 화하였으니, 일지의 해수는 반드시 생부生扶함이 옳다. 시간의 경금은 떨어져 있어서 생부할 뜻이 없으며, 또 시지 술토를 만나서 해수를 바싹 붙어서 극하므로, 곧 일주의 성정은 반드시 경금을 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음탕 천박함이 극심하였다.
己 戊 丁 丙 乙 甲 丁 庚 癸 丁-⑥
未 午 巳 辰 卯 寅 亥 子 丑 未
한금寒金은 정화를 기뻐하는데, 그 지지가 해자축 수국을 전비全備하여 북방의 수가 왕성함을 꺼린다. 또 월간 계수가 정화를 극하고 축미가 상충하여 미토의 정화 여기를 제거하는데, 오행에 목이 없어서 생화生化하는 성정을 얻지 못한다. 시간의 정화는 허탈하고 무근無根하니, 어찌 경금을 통제할 수 있겠는가. 일주의 성정은 관성 정화를 돌아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의 성정이 버들 꽃과 같다.
己 戊 丁 丙 乙 甲 乙 庚 癸 丁-⑦
未 午 巳 辰 卯 寅 酉 子 丑 丑
경금 일주가 축월 늦겨울에 태어나서 다만 한금 일주가 정화를 기뻐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시지에 양인陽刃 유금을 만나고 인수 축토가 당권하고 있으므로, 정화 관성을 용신으로 써서 한기를 대적할 수 있다. 월간 계수 상관이 녹지祿支 자수에 통근하고, 정화 관성을 극하여 절단하였다. 일주의 그 뜻은 정화 관성을 기만할 수 있고, 시상에 을목을 만나서 기쁘게 이와 합한다. 일주의 그 성정은 반드시 을목 재성을 향한다. 이 때문에 남편을 배반하고 달아났는데, 음란이 말할 수 없었다.
戊 丁 丙 乙 甲 癸 丙 辛 壬 丁-⑧
午 巳 辰 卯 寅 丑 申 巳 子 丑
임수가 합하여 정화 칠살을 제거하고, 병화 관성은 일지 사화의 녹을 얻었으니 아름다운 명조 같다. 이 때문에 출신이 명문대가名門大家로 그 용모가 아름답고 화사華奢 요염妖艶하여 모든 사람들이 양귀비에 필적하다고 칭탄하였다.
4~5세 때에 미목眉目이 수려秀麗했고, 13~4세에 이르러 애교를 더하였으며, 주조하여 만들면 한 폭 그림의 미인이 되었을 것이다. 18세에 선비의 처로 시집갔는데, 선비는 평소 돈후敦厚하고 신중하며 학문을 좋아하였으나, 미혹迷惑되어 사랑하느라 눈이 작아지고, 몇 년이 지나가자 학업을 폐기하였으며, 구경에는 폐결핵을 앓다가 죽었다. 이로부터 음탕을 감당하지 못했고, 뒤에 몸은 망가지고 이름은 더러워졌으며, 의탁할 곳이 없게 되자 스스로 목을 매고 자살하였다.
이 명조는 많은 합을 말미암은 연고이다. 무릇 십간의 합에 오로지 병신합만 정관이 상관으로 화하며, 이를 합을 탐착하여 관성을 잊어버린다는 탐합망관貪合忘官이라 한다. 사신巳申도 합하면 또한 상관 임수로 화하고, 정임丁壬이 합하면 곧 재성 갑목으로 암화暗化하므로, 일주의 그 의중意中은 병화 관성을 도외시度外視하려고 함이 분명하며, 그 성정은 반드시 정임 일변도一邊倒로 향한다. 하물며 간지가 모두 합이 되어 있는 사람임에랴, 가는 곳마다 의중의 사람이 아님이 없을 것이다.
壬 癸 甲 乙 丙 丁 戊 癸 戊 戊-⑨
子 丑 寅 卯 辰 巳 午 酉 午 子
계수 일주가 오월에 태어나서 오화 재성과 무토 관성이 함께 왕성하고, 밑에 유금 인수를 깔고 앉고 연지에 자수 녹에 앉아 있으니, 일찍이 중화中和하지 않음이 없다. 천간 세 곳에 무토가 투출하여 계수를 다투어 합하므로, 곧 일주의 성정은 끝내 일정한 생각이 없다. 지지의 2개 오화는 유금 인수를 파괴하고, 재성 오화와 관성 무토의 세력이 강약을 나누기 어렵다. 일주의 성정은 자연히 재성 오화의 세력에 의지하여 나간다. 다만 연간에 있는 무토 정부正夫는 재성 오화의 세력이 없으니, 그 역량이 월시 양간의 관성을 대적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일주는 정부正夫를 내버려두고 돌아보지 않으려고 한다.
대운이 을묘에 이르러 묘목이 오화를 생하여 왕성하고, 월시 양간의 무토는 곧 오화의 생부生扶를 얻으며, 연간의 무토는 인화引化함이 없어서 을목의 상극을 받는다. 이 때문에 남편이 질병을 얻어서 죽었다. 이후에 음탕함이 심상치 않았다. 더욱 더 재물이 사람에게 앙화가 된다는 말이 믿을 만하다.
丁 丙 乙 甲 癸 壬 丙 乙 辛 乙-⑩
亥 戌 酉 申 未 午 戌 亥 巳 未
연월일 여섯 자로 명조를 살펴보면, 을목 일주가 사월에 태어나서 상관 사화가 당령하였는데, 아래 해수 인수가 앉아서 사화를 상충하여 상관 사화를 제압함이 가장 기쁘다. 다만 일주는 해수의 자양滋養 생부生扶를 기뻐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신금이 해수의 위호衛護로 생양生養하니, 바로 이른바 상관용인傷官用印이며 독살유청獨殺留淸이라 하는 것이다. 다만 용모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또한 재예才藝도 고상하여 서화書畵에 모두 정통精通하였다.
꺼리는 것은 시지 술토가 해수를 바로 곁에서 극하고 병화 폭양暴陽이 한번 투출하여 칠살 신금이 손상을 받는 것이다. 이미 부자夫子의 궁宮에 불리하고, 겸하여 일생의 기질도 파손되는 것이다.
[역자 주] 원문 중에 억차신금득기위양抑且辛金得其衛養을 위에서 “또한 신금이 그 해수의 위호衛護로 생양生養하니,”라 번역했다. 위양衛養이란 신사월 을해일의 해수가 사화를 극하여 신금을 보호하고 동시에 신금의 생조 곧 생양을 받는다는 뜻이다. 적천수 반국장反局章에 “자식이 어머니를 구할 수 있다는 말은 천기를 누설한 것이다."라는 아능구모설천기兒能救母洩天機가 바로 이에 상당할 것이다.
철초 선생은 을미생의 명조를 이 (1)항의 맨 끝에 배열하였다. 다만 시지 하나를 잘못 타고났기 때문에 아까운 자질이 모두 손상되고 말았다. 겸하여 일생의 기질도 파손되었다는 말은 선생의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한 말일 것이다.
(2) 부성과 자성이 현귀한 유형
甲 癸 壬 辛 庚 己 乙 癸 戊 丁-①
寅 丑 子 亥 戌 酉 卯 丑 申 巳
이 명조는 무토 관성과 을목 식신이 녹에 앉았고, 당령한 인수 신금이 일주를 만나서 생한다. 정화 재성이 무토 관성을 생하여 왕성하고 신금 인수를 손상하지 않으며, 신금 인수는 당령하여 일주를 생부生扶할 수 있다.
을목 식신이 득지得地하여 을묘목 일기一氣가 상생하고, 오행이 균형이 잡혀서 안상安祥하고 순수하다. 남편과 자식이 영귀榮貴하여 양대에 일품一品의 외명부外命婦에 봉封함을 받았다.
[역자 주] 원류가 연지 사화에서 시작하여 정화 무토 신금 계축수로 흘러서 을묘목 시지에 머무른다.
己 戊 丁 丙 乙 甲 丙 甲 癸 己-②
卯 寅 丑 子 亥 戌 寅 辰 酉 亥
팔월은 유금 관성인데, 진토 재성이 유금을 생조하고, 인시에 태어나서 연시의 두 지지에 계수와 병화가 유금과 인목의 생부生扶를 만나고 녹을 얻었다. 병화와 계수가 투출해도 상극하는 형세가 없고 생화生化하는 성정이 있으며, 재성이 득지得地하고 사주에 통근하여 오행이 어그러짐이 없으며, 오기五氣가 정연靜然하여 화평하고 순수하여 생화生化함이 유정하다. 남편과 자식이 영귀榮貴하여 일품一品의 외명부外命婦에 봉封함을 받았다.
[역자 주] 외명부外命婦는 명청明淸시대에 남편의 품계品階에 따라 부인夫人에게 봉封하는 품계이다. 왕궁 안의 명부命婦를 내명부內命婦라 하고 왕궁 밖의 명부를 외명부라 한다. 조선시대의 일품 외명부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이다.
戊 丁 丙 乙 甲 癸 甲 丁 壬 辛-③
戌 酉 申 未 午 巳 辰 巳 辰 酉
진토 상관이 비록 왕성하지만, 유금과 합하여 금으로 화하면 곧 임수 관성의 원신元神은 더욱 두터워진다. 사화에 금을 끌어내고 진토에 금을 인화引化하면 곧 신금 재성의 원신도 또한 견고하다. 시간에 갑목 인수가 투출하여 정화 일주의 광휘光輝를 돕고, 진토의 상관을 억제한다. 이른바 목은 시들지 않고, 화는 맹렬하지 않으며, 수는 마르지 않고, 토는 건조하지 않으며, 金은 취약하지 않으므로, 오기五氣가 정연靜然하여 화평한 형상이다. 남편과 자식이 영귀榮貴하여 일품一品의 외명부外命婦에 봉封함을 받았다.
[역자 주] 이 명조의 원류는 갑진목에서 시작하여 정사화 진토 유신금으로 돌아서 임수에 머문다.
己 戊 丁 丙 乙 甲 甲 壬 癸 己-④
卯 寅 丑 子 亥 戌 辰 辰 酉 巳
임계수 추수秋水가 근원에 관통하고 인성 유금이 시령을 잡았는데, 관살 진토가 비록 왕성하나 제화制化하여 합함이 마땅하다. 시간에 식상 갑목이 투출하여 칠살 기토를 제압하고 수기秀氣를 발설發洩함이 더욱 묘하니, 일파一派가 순수한 기상이다. 이 때문에 인품이 단장端莊하고, 시서詩書에 정통精通하였다. 운도運途에 화가 없어서 관성 기토가 생조되지 않고 인수 유금이 손상되지 않음이 기쁘다. 부성夫星 남편이 현귀顯貴하고 자식들이 준수하고 아름다웠으며, 고명誥命으로 이품二品 명부命婦의 영예榮譽에 봉封해졌다.
丙 丁 戊 己 庚 辛 癸 乙 壬 庚-⑤
子 丑 寅 卯 辰 巳 未 亥 午 辰
을목 일주가 오월에 태어나서 오화의 기세가 맹렬하고 관성 경금은 취약脆弱한 때이다. 인성 임계수가 통근通根하여 오화 식신을 억제하고, 재성 진토는 오화를 설기하여 관성 경금을 생조함이 기쁘다. 곧 화토가 염렬炎烈하거나 건조하지 않고, 수목이 마르거나 시들지 않으며, 접속接續하여 상생하니 청수淸秀하고 순수純粹하다. 여인들 중에 재인才人이 되어 아들 셋을 낳았다.
남편은 북경北京의 관직에 부임하였으나 가도家道는 청한淸寒하였고, 집에서 자식들을 독서讀書하도록 가르쳤으며, 두 아들이 과거에 급제하고 한 아들은 장원급제하였다. 남편은 벼슬이 낭중郎中이고 아들은 벼슬이 어사御使로 이대二代에 고명을 받았다.
[역자 주] 원류가 월지 오화에서 시작하여 진토 경금 임수로 상생하여 을목 일간에서 그치고, 시간 계수와 일지 해수도 을목을 생한다. 이를 접속接續하여 상생한다고 말한 것이다.
庚 辛 壬 癸 甲 乙 丙 丁 壬 乙 戊 庚-⑥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午 酉 寅 辰
을목 일주가 초봄에 태어나서 인목은 여리고 유금은 견고하다. 시지 오화가 유금 칠살을 제거하고 일주를 호위護衛함이 가장 기쁘다. 인월의 한목寒木이 오시의 양화陽火를 향하고, 경금 정관과 임수 인수가 함께 청수하며, 무토 재성이 경금 관성을 생하느라 임수 인수를 파괴하지 않으므로, 순수하여 평안하고 화락하였다.
남편의 벼슬이 이품二品이고 아들이 다섯에 손자가 23명이다. 일생 동안 질병이 없었고, 부부간에 애경愛敬하며, 수명이 팔순 밖에 이르렀고, 질병이 없이 임종했다. 후손들도 모두 현귀顯貴하였다.
이상 16개 명조는 모두 관성을 부성夫星으로 한 것이다.
2. 관성 이외의 육신을 부성夫星으로 하는 명조
(1) 부성과 자성이 현귀한 유형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甲 丁 癸 丙-①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辰 丑 巳 辰
정화 일주가 사월에 태어나서 계수 부성夫星이 맑게 투출하고, 시간의 갑목 인수가 홀로 청수하다. 이 때문에 품격이 단장端莊하고 몸가짐이 정결하였다. 병화 겁재가 너무 왕성하여 상관 진토를 생조함이 아깝다. 거울이 깨지고 비녀가 나뉘어졌다. 그러나 사축이 금국을 이루어 재성을 용신으로 쓸 만하다. 일주가 왕성하면 재성을 자식으로 하는데, 자식을 가르쳐서 명성을 얻었으며, 아들 둘이 모두 현귀顯貴하게 되어 삼품三品 명부의 고명을 받았다.
[역자 주] 경파차분鏡破Ꟃ分 곧 거울이 깨지고 비녀가 나뉘어졌다는 구절은 부부간에 사별死別을 거울과 비녀에 빗대어 표현한 말이다.
乙 丙 丁 戊 己 庚 戊 癸 辛 丙-②
酉 戌 亥 子 丑 寅 午 酉 卯 寅
계수 일주가 묘월 중춘仲春에 태어나서 설기하는 지위이며, 겸하여 재성 병화와 관성 무토가 모두 왕성하다. 일주 계수는 유약柔弱하여 신금 인성을 부성夫星으로 하며, 청수한 인성을 유용有用한다. 이 때문에 천성이 단장하고 방직紡織으로 부지런히 알뜰하게 살았다.
대운 축운에 이르러 오화를 설기하여 금국을 이루므로 연달아 아들 둘을 낳았으며, 무자 대운에는 상충으로 오화를 제거하여 유금 부성夫星을 손상하지 않으므로, 부군夫君이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한번 정해 대운으로 바뀌자 서방세계西方世界로 돌아갔다.
이 명조의 병은 실로 재성 병화와 오화의 왕성함에 있다. 천간의 신금을 병화가 합하고 지지의 유금을 오화가 극파剋破하며, 또한 겸하여 인묘목이 당권當權하여 화를 생하고, 정해 대운에는 인해가 화목化木하여 왕성한 화신火神을 도와 일으키며, 또 정화가 부성夫星 신금인 인수 용신을 바싹 붙어서 극하므로, 죽음은 당연하다.
[역자 주] 일교정해서귀의一交丁亥西歸矣라는 구절에 서귀西歸는 죽음의 불교적인 표현이다. 정해 대운에 정화가 신금을 극하여 용신이 손상되므로 이 명조의 주인이 죽어서 서방정토 극락세계로 돌아갔다는 말이다. 철초 선생은 불교를 좋아하지 않은 듯하지만 일상적인 표현이다 보니 저절로 표출되었던 것 같다.
丁 丙 乙 甲 癸 壬 癸 丙 辛 辛-③
酉 申 未 午 巳 辰 巳 子 卯 丑
병화 일주가 묘월 중춘에 태어나서 화상목왕火相木旺하는 시절이라, 바로 중화中和하는 형상을 얻었다. 연월 양간兩干에 재성 신금이 투출하고, 지지의 사축이 금국을 이루며, 신금 재성이 왕성하여 계수 정관을 생하지만, 계수 관성이 사화 녹祿을 얻고 있으므로, 묘목 인수를 부성夫星으로 한다. 이를 진신眞神이 득용得用했다고 한다. 천성이 근검勤儉하고 방적紡績으로 독서讀書하도록 도왔으며, 맛있는 음식으로 봉양하여 시부모의 환심歡心을 얻었다.
갑오 대운에 이르러 일주 병화를 돕고 인수 묘목을 호위護衛하니, 부군夫君이 연달아 과거에 장원급제하고, 고명으로 의인宜人 명부命婦에 봉封해졌다. 수명은 정유 대운에 이르러 사유축 금국을 이루고 묘목 용신을 충극하여 사망하였다.
己 戊 丁 丙 乙 甲 丙 丙 癸 丁-④
酉 申 未 午 巳 辰 申 辰 卯 酉
병화 일주가 중춘에 태어나서 계수 관성이 투출하고 재성 경신금은 지지에 암장暗藏되었으며, 인성 묘목이 당령하고 비겁 병정화가 일주를 돕고 있으므로 왕상旺相한 것 같다. 그러나 묘목과 유금이 상충을 만나고 계수와 정화가 상극相剋하여 목화는 손상되고 금수는 잔존殘存함을 꺼린다. 비록 시간 병화의 도움을 받는다고 하지만, 다만 시간 병화가 신위申位에 앉아서 또한 자신을 돌아볼 여가도 없다. 다행히 진토 중에 을목 여기餘氣를 축장蓄藏하여 한점의 미약한 싹은 오히려 있게 되며, 묘목 춘령春令에 용신으로 보필할 수 있다. 이를 앞의 명조와 비교하면 더욱 유약하므로 또한 인성 묘목을 부성夫星으로 한다. 인품이 단장하고 정숙하며, 글을 알고 이치를 통달하고 있다.
병오 대운에 기신忌神인 재성 유금을 극파剋破하여 부군이 과거에 합격하고 아들 둘을 낳았으며, 고명으로 사품四品 명부命婦에 봉해졌다. 사순四旬 밖에 이르러 대운이 무신으로 달려서 병화를 설기하고 신유금을 생조하므로 죽었다.
丙 乙 甲 癸 壬 辛 己 戊 庚 癸-⑤
寅 丑 子 亥 戌 酉 未 午 申 丑
무토 일주가 신월 초가을에 태어나서 사주 가운데 기토 겁재와 오화 인수가 중중하다. 신금 식신의 당령當令을 얻어서 부성夫星으로 하고 무기토의 정화精華를 발설한다. 계수가 무기토를 적셔서 경신금을 배양하여 수기秀氣가 유행流行함이 더욱 기쁘다. 이 때문에 인품이 단장하고 대의명분大義名分를 알고 있다. 비록 농가에 출생했지만 가난한 가운데도 편안히 지내며 방적紡績으로 남편을 돕고 효도로 시부모를 봉양하였다.
계해 대운에 이르러 부군이 향시鄕試에 합격하고, 오래지 않아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황당黃堂에 이르렀다. 비록 남편이 현귀顯貴해도 일찍이 영귀榮貴를 누리지 않고 부인이 몸소 신중히 행하며, 집에 있을 때는 바로 베옷을 만들어 입었다. 자식 넷을 낳았는데 모두 아름답고 준수俊秀하였으며. 수명은 병인 대운에 이르러 용신인 경신금 식록食祿을 박탈하여 죽었다.
丙 乙 甲 癸 壬 辛 己 戊 庚 癸-⑥
寅 丑 子 亥 戌 酉 未 戌 申 未
이 명조는 앞 명조와 다만 미술 두 지지만 바뀌고 그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미와 축은 모두 토이고 오화만 술토로 바뀌었다. 신금을 용신으로 쓰고자 하면 오화를 제거함이 더 좋으며, 대세로 이를 살펴보면 앞의 명조보다 수승하다고 할 것이다. 현재 명조가 오히려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무릇 축토는 바로 북방의 습토로 금을 생할 수 있고 화를 어둡게 할 수 있으며 또 수를 저장할 수도 있지만, 미토는 바로 남방의 조토燥土로 금을 취약하게 할 수 있고 화를 도와줄 수 있으며 또 수를 마르게 할 수도 있다. 오는 비록 화이나 축토를 만나면 생을 탐착하며, 술은 비록 토이나 화를 소장하고 있어서 더욱 건조하게 된다. 다행히 추금秋金이 용사用事하며, 이 때문에 현귀하게 된 것이다. 비록 출신은 빈한하나 인품이 단엄하고 살림이 근검勤儉하였다. 부군이 중시中試 향방鄕榜에 합격하여 벼슬이 현령縣令에 이르렀고 아들은 둘을 낳았다.
戊 丁 丙 乙 甲 癸 壬 壬 戊 辛 己-⑦
寅 丑 子 亥 戌 酉 申 戌 辰 未 酉
무토 일주가 미월 하령夏令에 흥성興盛하여 신유금을 만나면 수기秀氣를 드러내고, 목이 없음을 더욱 기뻐한다. 부귀한 명조이다. 이 때문에 출신이 관리의 가문으로 시서詩書를 통달하고 예교禮敎를 성취하였다.
계유 대운에 이르러 부성夫星 신금의 녹이 왕성하여 아들 하나를 낳았고, 부군은 과거에 합격하였다. 갑술 대운에 형충刑沖으로 정화를 출현시켜 (정화가 부성 신유금을 손상하여 남편을 잃으므로) 규방閨房은 눈이 휘날리고 가세家勢도 나날이 몰락하였다. 젊은 나이에 수절守節하며 간절한 뜻으로 자식을 가르쳐 명성을 이루게 했다. 병자 대운에 이르러 아들이 과거에 합격하고 벼슬이 군수에 이르렀다. 자고紫誥로 명부命婦에 봉해졌으며, 수명은 신유금이 절지絶地에 드는 무인 대운에 이르렀다.
戊 丁 丙 乙 甲 癸 甲 癸 壬 丁-⑧
午 巳 辰 卯 寅 丑 寅 丑 子 亥
계수 일주가 자월 중동仲冬에 태어나서 지지에 亥子丑을 전비全備하고, 북방의 일기一氣로 그 수세水勢가 범람泛濫하며, 연간에 한점 정화는 뿌리가 없다. 시지의 인목이 수세를 받아들이고 임계수의 정화精華를 발설發洩하며, 갑목 부성이 녹 위에 앉아 있음이 가장 기쁘다. 이 때문에 사람됨이 총명하고 용모도 아름다우며 단정하고 정숙하였다.
대운이 동남 목화의 땅으로 달림이 더욱 기쁘다. 부군은 영귀榮貴하게 되고 자식은 준수俊秀하였으며, 복택福澤이 남음이 있었다.
壬 辛 庚 己 戊 丁 丁 乙 丙 乙-⑨
辰 卯 寅 丑 子 亥 亥 卯 戌 卯
을목 일주가 술월 늦가을에 태어나서 사주 중에 두 을목이 녹 묘목에 앉아 왕성하고, 해수와 묘목이 또 목국을 이루며, 사주에 금이 없으므로 을목 일주가 왕성하다. 그 병정화가 나란히 투출하여 을묘목을 설기하고 재성 술토를 생함이 기쁘다. 재성 술토를 부성으로 하며, 천성이 단장하고 화순和順하다. 부군은 중시 향방鄕榜에 합격하여 벼슬이 금당琴堂에 이르렀다. 아들은 셋을 낳았으며, 수명은 임진 대운에 이르렀다.
戊 己 庚 辛 壬 癸 辛 丁 甲 戊-⑩
申 酉 戌 亥 子 丑 丑 未 寅 寅
정화 일주가 인월 춘령春令에 태어나서 갑인목 인수가 너무 왕성하다. 시지 신금이 아래 축토 재고財庫에 앉아서 미토 중에 정화 비견과 을목 인성을 상충 제거하고 신금 재성을 생조하여 일으킴을 가장 기뻐한다. 반드시 신금 재성을 부성으로 삼아야 하고 축토 식신을 자성子星으로 삼아야 한다.
초년의 대운이 북방 수지水地로 신금을 설기하고 갑인목을 생하므로 출신이 한미寒微한 집안이다. 경술 기유 무신 대운의 30년 동안 토금의 땅에 이르러 부군이 재물을 일으켜 풍족하였고, 아들 셋을 낳아서 모두 현귀하게 되었으며, 고명으로 공인恭人의 명부에 봉해졌다. 이른바 인수印綬를 버리고 재성을 취한 기인취재棄印取財이며, 또한 부성인 재성이 자성인 식신의 도움을 얻었으므로 후사後嗣의 영화가 일어난 것이다.
(2) 요절하는 유형
癸 甲 乙 丙 丁 戊 癸 辛 己 壬-①
卯 辰 巳 午 未 申 巳 丑 酉 辰
신금 일주가 유월 중추에 태어나서 지지에 사유축 금국을 전비하고, 오행 중에 목이 없으므로 사화는 이미 금을 이루었으니, 반드시 사화 관성을 용신으로 써야 할 이치는 없다. 임계수가 나란히 투출하여 신금의 정영精英을 설기함을 기뻐한다. 사람됨이 총명하고 단엄하며, 시례詩禮에도 매우 밝았다.
애석한 것은 19세에 행운이 정미 대운으로 달아나며, 남방의 화가 왕성하여 기토를 생하고 임계수를 죄어친다. 유년流年의 소운小運이 庚戌년 19세에 지지가 모두 용신인 임계수를 극하므로 자식도 없이 요절하였다.
[역자 주] 19세의 젊은 나이에 대운 정미와 유년 소운 경술의 액운이 한꺼번에 들이닥쳐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요절한 것 같다. 대운 정화가 임수를 합하여 제거하고, 미토는 축토를 상충하여 계수 여기를 제거하며, 유년 소운 경금은 비록 신금을 도와주고 임계수를 생할 수도 있겠지만, 술토가 또한 진토를 상충하여 임수 묘고를 파괴하므로, 임수와 계수의 뿌리가 절단되었다. 더구나 미축과 술진의 상충으로 발동한 축진의 왕성한 토기土氣를 임계수가 감당할 수 없어서 요절한 것 같다. 미토 중에 정화가 축토 중에 신금을 제거하여 사유축 삼합을 깨뜨린 것도 요절에 일조하였을 것이다.
庚 辛 壬 癸 甲 乙 己 乙 丙 甲-②
申 酉 戌 亥 子 丑 卯 卯 寅 午
왕성한 을목 일주가 월간 병화를 만나서 목화가 통명通明하는 형상이다. 묘함은 금수가 전혀 없는 점에 있다. 순청純淸하고 혼잡하지 않고 사람됨이 단장하다. 병화 상관을 부성으로 한다.
대운이 북방의 수지水地로 달림이 애석하다. 수명도 또한 길지 않았고, 아들은 셋을 낳았으나 하나만 남았다. 임술 대운에 이르러 용신 병화를 극하므로 사망하였다.
가령 앞 임진생과 이 갑오생의 두 명조가 대운이 모두 순행하였다면 다만 수명이 길었을 뿐만 아니라, 만일 남자의 명조였다면 명리가 양전兩全하였을 것이고, 여자의 명조였다면 곧 남편과 자식이 모두 영귀榮貴하였을 것이다.
戊 丁 丙 乙 甲 癸 己 乙 壬 丁-③
申 未 午 巳 辰 卯 卯 卯 寅 未
춘목이 무성茂盛하여 왕성함이 지극하다. 시간의 기토는 뿌리가 없어서 정화를 부성으로 한다. 정임이 합하여 임수를 제거함이 또한 묘하지만 목으로 화해서는 마땅하지 않다. 이 때문에 출신이 빈한하였다.
대운이 남방 화지火地로 나아감을 기뻐한다. 다만 남편을 도와서 가세家勢를 흥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자식도 또한 많았다. 수명이 무신 대운에 이르러 기신忌神 임수가 생조를 만나서 사망하였다.
이 명조를 앞의 명조와 함께 의론하여 보면, 앞의 명조에는 미치지 못한다. 이 명조가 곧 행운行運이 배역背逆하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앞의 명조보다 수승殊勝한 것이다. 그렇다면 “명命 좋은 것이 운 좋은 것만 못하다.”라고 한 것은 남녀가 모두 맞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