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에 공부하면서 보던 내용인데 래의법에 대한 것이 있어 한번 올려봅니다.
상당히 많은 글이 있지만 우선 하나를 올려 봅니다.
來意法
# 방문 시간 중심으로 작성한다. 일간은 세, 일지는 응, 시간지는 동효로 보며 시주에 있는
것이 동한 것으로 문점의 요지가 된다.
정관 - 정부를 상징, 가정에 관재구설, 송사 등 재액이 있어 방문했다고 본다.
귀살 - 질병 주재. 가정에 환자가 있거나 외부의 협박 등이 발생했다고 본다.
효살 - 사문서이니 문서나 금전문제 사기 당하거나 대인 관계에 불만이 있거나 고통이 있 다.
정인 - 토지난 가옥 등을 사거나 시험에 합격 했다.
분록 - 부부간 화목, 형제간 우애, 집안에 혼사진행, 동업계획
도살 - 도적을 맞았거나 직장에서 사퇴하는 위기에 있다.
정재 - 취직이 되거나 상업인은 장사가 잘 되는 것이다
편재 - 걱정 꺼리가 많고 간강의 악화. 사업부진, 금전의 고통이 있다.
# [예] 일간 기토가 세일 경우. 시주에 갑목, 인목이 있으면 정관이 동한 것이다. 계수나 자수가 有氣하면 갑목이 생을 받으니 官庫가 크게 일어나고, 경금 申금이 유기하면 정관이 극을 받아서 관재는 자연이 소멸된다고 본다.
@ 만약 시주에 을목 귀살이 유기하면 질병으로 고생하는데 辛금 식신이 유기하면 병은 치유 된다고 보고 임수가 유기하면 을목이 왕성해지니 악화된다고 본다.
@ 정화가 있으면 사기 사건인데 갑목이 있으면 크게 당하고 계수가 유기하면 무사하다.
@ 병화가 있으면 을목이 있어서 유기하면 문서를 받게 되고 임수가 유기하면 온전치 못함
# 도움 줄 사람, 해줄 사람의 보기
@ 태세 천간에서 세를 생조하면 외부인, 官吏, 부모 등에서 도와줄 사람이 있다고 보고 극을 받으면 나를 해치는 사람이 있다고 본다.
@ 월에서 극해 하면 이웃 동료 친구 형제 자매의 해를 받는다.
@ 시에서 세를 생한다면 자손이나 부하의 도움이 있고, 극을 받으면 해를 입는다고 본다.
# 문점의 대상, 사건의 과거 현재 미래의 파악은 용신으로 본다.
용호가 지난해의간지는 과거에 발생, 앞으로 올것이면 미래에 발생하고, 금년의 간지일 때는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이며,
달을 볼 때고 과거월 [현재월에서]은 지난 시점, 미래월은 앞으로 다가올 시점, 현재월 은 지금 발생하는 것이고 ,
일도 마찬가지로 현재 일주를 기준하여 과거일 현재일 미래일을 추론하여, 어느 해, 어는 날, 어느 시에 사건이 일어났는지를 정확이 판단할 수 있다.
# 귀인의 만남
귀인을 만남은 시주 간지를 본다. 시주 간지에 천을 귀인이 임하면 반드시 귀인을 만난다. 이때 시주 간지에 역마가 있으면 출행 중이므로 만날 수 없다고 본다.
# 용사 - 천간 4양은 日, 4음, 2음2양은 月, 3양 1음은 陰, 3음 1양은 陽을 용사로 추론하 며 시의 동효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