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매매운

일통 2011. 3. 3. 13:06

松栢 강의 - 매매운

 

 

* 매매를 하기 위해서는 돈이 있어야 하고, 문서를 작성하려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 돈은 식재가 왕성하면 있는 것이고, 문서는 관인이 왕성하면 있는 것이다. 식재와 관인이 조화로워야 매매가 성사된다. 월운에서 조화롭게 해줄 때 매매가 이루어진다.

 

* 매매는 이사를 동반하니 이동수로도 보는데, 역마 지살과 합충형파가 영향을 준다.

 

 

 

 

간법 하나

正安 | 2010.11.08. 09:20

 

 

매매운은 인성과 재성 그리고 관성을 본다. 먼저 인성을 보고 매입 여부를 결정하고 재성을 보고 매도 여부를 결정한다. 비겁운은 금전 부족으로 성사되지 않거나 매매가 지연되고 시비나 구설이 따른다. 식상운은 매매가 되는 운이나 상관 견관되면 송사가 생긴다.

 

부자가 되는 구조는 식상생재 구조나 재생관 구조인데, 식상생재 구조는 내가 잘 벌 수 있는 능력이고, 재생관은 남이 벌려놓은 직장에서 돈을 잘 벌게 되는 능력이 있다.

 

문서 이동은 월지, 일지, 일간의 합충으로 보는데, 운에서 년지를 합충하면 부모 유산, 부모 재산으로 인한 이사 이동수가 있고, 월지를 합충하면 직업 변동으로 이사 이동수가 있고, 일지를 합충하면 이혼, 이별, 별거 등으로 분주다사하거나 이사 이동수가 있다.

 

역마운으로 이사하면 타의에 이한 이동 이사이고, 지살운으로 이사를 하는 것은 자의에 이한 이동 이사이다. 재성은 매도로 보고 인성은 매수로 본다. 년월의 합충이면 가택이 변하고 인성이 합충이면 매매가 이루어진다.

 

운에서 관성이 임하면 직업 변화로 이사가고, 인성이 임하면 매도 매매로 이사가고, 식상이 임하면 투자로 이사한다.

 

 

 

 

實觀正法 - 매매운

현성도사 | 2007.12.27. 17:11

 

 

1. 매매라는 것은 가게, 집, 땅과 같은 부동산의 문서적 움직임이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매매운은 항시 문서적 이익과 관련하여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인성과 직결이 된다. 더불어 得財의 상황과 맞물려 준다면 매도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적시의 운을 가지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재성의 움직임은 없으되 인성의 동요만 보인다면 매도보다는 매수하는 쪽이 가깝다고 할 수 있다.

 

2. 사회적으로 富를 이루게 해주는 성분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財星과 印星이라면, 재성은 곧바로 내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적시에 꺼내서 쓸 수 있는 현금적인 자산이라 할 수 있으며, 인성은 이와는 반대로 재성과 서로 정반대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쓸 수가 없는 자산을 의미하는 부동산을 의미하는 것은 두 말 할 필요 없이 당연한 이치인 것이다.

 

3. 이러한 연유를 가지고 있으므로 인성이 과다하게 되면 생각이 너무 많고 망설임의 시간이 길어 중요한 타이밍을 적시에 적절하게 얻어내지 못해 아쉬운 일을 만들어내기 십상인 것이다. 우유부단함의 극치를 달리게 되니 주변에서 볼 때 너무나 낙천적이거나 여유롭다는 평가를 받게 되기도 한다.

 

4. 이 점을 깊게 잘 고찰해 본다면, 장시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문서운은 재성이 함께 움직여 주는 것이 아니라 인성과 관성이 함께 움직여 주어야 한다는 점을 상기하게 된다.

 

5. 이 점을 반대로 생각한다면, 官印이 동했을 때 취득하게 되는 문서운은 단시간 내에 현금화하기가 매우 곤란하며 장시간 보유하게 되는 소유물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6. 沖으로 인한 매매는 내것을 버리고 새것을 얻는다는 의미가 강하다. 잃게 되는지 얻게 되는지에 대한 결과는 오로지 지지가 담당하고 있으니, 지지에서 관성과 인성이 건전하다면 무난하게 문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7. 관성이 손상을 입는다면 응당 공증이나 타인의 개입에서 불가피하게 문제가 생기는 것이므로 공신력 있는 거래와는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하지만 인성이 무난하고 깨끗하다면 결과야 어떻게 되어도 취득은 가능하다.

 

8. 인성의 손상은 문서적 이득에 결정적인 치명타로 작용하며, 특히나 재성의 형살과 같이 맞물려 돌아간다면 거래가 성사될 듯 보여도 잘 풀리지 않으며, 배신의 구설수가 함께 동반하니 이는 재성이 형살로 동해도 財克印의 효과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9. 지장간에서의 개고 현상으로 천간의 인성을 꺾게 될 때 상극의 干合간합은 그 움직임이 불미스러우니 항상 투자에서 조심해야 할 것이다.

 

10. 刑殺로 벌어지는 매매운의 시그널은 항상 그 해의 마지막이나 그 다음 해로 마무리가 넘어가게 되니 해당 년운의 추론으로 그치지 말고 그 다음의 행년과 맞물려서 판단해야 한다.

 

 

 

 

매매운과 이사운

2010/10/02 13:02 http://blog.naver.com/namoosil/20114482830

 

 

이사하는 경우는 직장을 이동하는 전출에서 영전 좌천 등에 의한 이동이 있을 것이고, 사업자는 규모의 확장 또는 실패 등의 이유로 이동이 있을 것이다. 즉 늘려서 가는 이사와 망해서 가는 이사로 구별하게 된다.

 

개인에게 적용되는 이사 방법이 있을 것이고 통상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삼고 있는 생기복덕표에 따른 이사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개인에게 맞는 이사 방법을 말한다.

 

대운이나 세운이 사주 년지를 형충하면 이사 이동수가 발생한다. 이때 용신이나 희신의 기운인 대세운이 형충하면 길한 이사가 되고, 기신의 기운인 대세운이 형충하면 흉한 이사가 된다.

 

대운이나 세운이 사주 월주를 형충하면 직업적인 이사 이동수가 발생하며, 여자는 결혼으로 인해 출가한다.

 

사주의 년지나 월지 일지를 대운이나 세운에서 육합 삼합할 때에도 이사 이동수가 발생하는데, 합해서 나오는 오행의 기운이 사주의 용신이나 희신이면 길하고 기신이면 흉하다고 판단한다.

 

사주에서 인수가 희용신인데 대운 세운에서 인수운을 만나면 문서 계약으로 인한 이동수가 발생하는데 발전적이며 늘려서 가는 이사 이동이다. 이때 인수운이 합으로 재국이나 관운으로 바뀌면 오히려 문서 계약으로 인해 손재하거나 관재 구설이 따르는 흉한 이사 이동운이 된다.

 

이동수 중에서 특히 이사라는 것은 인성이 함께 맞물려 벌어지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권한을 대행하는 이름 및 도장을 쓰는 일이 움직여야 계약이 성사되기 때문이다.

 

문서 매매는 인성이 떠서 관인 상생되는 운로는 저절로 매매가 성사되며, 길신이면 더욱 더 좋은 결과가 발생된다.

 

인성이 식상을 건들면 장사가 되지 않아 팔아먹으려는 운이 된다.

 

사주 일지를 대운이나 세운에서 형충할 경우 부부간에 풍파로 인하여 별거 및 이혼으로 인한 이사 이동수가 발생되는데, 이때 사주상의 용신 희신의 기운을 가진 오행이 형충하면 복잡 다단한 일이 생기고 길흉이 상반된다.

 

사주의 일지에 괴강살이나 양인살 및 백호살이 있는데 사주상의 원국에 형충되어 있는 것을 다시 대운 세운에서 가중해서 형충하면 그 형충되는 오행의 기운이 그 사주의 탁기운이면 즉 기신이면 대단히 불행한 일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위와 같이 사주의 원국에서 역마살이 있거나 편인 편관이 동주하거나 수의 기운이 왕한 중에 역마살이 있든지 하면 국내외는 물론 해외 여행을 자주 다니거나 늘 분주하다.

출처 : 조흔사주 원리학당 [사상 명리학]
글쓴이 : 松栢 조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