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사안별 십신(용신) 분류
사안별 십신은 전통 명리학의 용신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안에 따른 십신의 배정은 다음과 같다.
관운 예측에서는 관살이 핵심이 된다. 효인은 임명장과 권력, 재성은 권력의 뿌리, 식상은 막힘, 비겁은 막힘과 경쟁이 된다.
재운 예측에서는 재성이 핵심이 된다. 관살은 재물 소모, 효인은 사정, 재성은 재물, 식상은 재물의 근원, 비겁은 손재가 된다.
사고 질병 예측에서는 비겁이 핵심이 된다. 관살은 질병과 사고, 효인은 조력자와 의사, 재성은 병증, 식상은 의약품, 비겁은 건강이 된다.
관재구설 예측에서는 관살이 핵심이 된다. 효인은 소장과 시비, 재성은 이유, 식상은 자기의 사정, 비겁은 동지와 조력자가 된다
감옥 예측에서는 관살이 핵심이 된다. 관살은 감옥, 효인은 죄행, 재성은 사정, 식상은 변호사, 비겁은 동지와 조력자가 된다.
혼인 예측에서는 여자는 관살이 핵심이 되고, 남자는 재성이 핵심이 되는데, 관살은 남편과 남친, 효인은 양측의 가정, 재성은 자기의 실력 또는 여친, 식상은 친구와 자기의 실력, 비겁은 내 가정이거나 내 친구가 된다.
십신의 대표적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관살은 사업과 권력이 되고, 소인의 침해가 된다.
재성은 재물, 권력의 근원이 되고, 체력 소모가 된다.
식상은 재물의 근원이 되고, 기운을 빼내는 것이 된다.
비겁은 손재가 되고, 내 몸을 돕는 것이 된다.
효인은 사업과 인장과 권력이 되고 내 몸을 돕는 것이 된다.
여씨 명리학에서 사안별로 십신을 배정하는 것은 육효학(六爻學)의 용신 배정 원리와 대부분 일치한다. 전통 명리학 고전 중에서 육효학의 용신론과 육친론의 원리를 채택한 책으로 적천수천미를 들 수 있다. 적천수천미에서는 자녀를 식상으로 보고, 부친을 인성으로 본다. 이것이 전통 명리학의 육친론이 부친을 편재에 배정하고 자식을 관살에 배정한 것과 다른 점이다. 그러므로 여씨 명리학은 전통 명리학의 용신론을 배격하고 육효학의 용신론을 채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길흉의 작용 분석에서 십신작용론에 근거해서 해석하는 것이 육효학과 다른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