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 십신작용론(十神作用論)
십신작용론은 십신 작용 방식에서 길흉이 나타난다는 이론인데, 여씨 명리학의 영혼(靈魂)에 해당하는 핵심 이론이다. 이것은 십신(十神)과 십신 사이에 일어나는 생극 작용과 형충합해의 작용을 분석하는 이론이다. 십신에는 비견(比肩)과 겁재(劫財)를 뜻하는 비겁(比劫), 재성(財星)을 간략히 약칭하여 부르는 재(財), 식신(食神)과 상관을 뜻하는 식상(食傷), 편인(偏印)과 정인(正印)을 뜻하는 효인(梟印), 정관(正官)과 칠살(七殺)을 뜻하는 관살(官殺)이 있다.
십신이 생하는 관계는, 비겁이 식상을 생하고, 식상이 재를 생하고, 재가 관살을 생하고, 관살이 효인을 생하고, 효인이 비겁과 일간을 생한다. 십신이 극하는 관계는, 비겁이 재를 극하고, 재가 효인을 극하고, 효인이 식상을 극하고, 식상이 관살을 극하고, 관살이 비겁을 극한다.
여씨 명리학에서 논하는 십신의 작용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조합이 있다. 즉, 원국 안에서 발동한 십신 상호간에 일어나는 생극형충합해의 작용 관계, 대운의 십신과 원국에서 발동한 십신 상호간에 일어나는 생극형충합해의 작용 관계, 유년 십신과 원국이나 대운에서 발동한 십신 상호간에 일어나는 생극형충합해의 작용 관계, 유년의 십신 혹은 발동한 대운의 십신 혹은 발동한 원국의 십신과 일간 사이에 일어나는 생극형충합해의 작용 관계 등이 있게 된다.
십신 작용 방식을 천간과 지지별로 조합하면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게 된다.
천간의 합은, 비겁합재(比劫合財), 재합비겁(財合比劫), 식상합효인(食傷合梟印), 효인합식상(梟印合食傷), 비겁합관살(比劫合官殺), 관살합비겁(官殺合比劫), 재합효인(財合梟印), 효인합재(梟印合財), 식상합관살(食傷合官殺), 관살합식상(官殺合食傷)의 12종류 작용 방식이 있다.
천간의 충은, 비겁충재, 재충비겁, 식상충효인, 효인충식상, 비겁충관살, 관살충비겁, 재충효인, 효인충재, 식상충관살, 관살충식상의 12종류 작용 방식이 있다.
천간의 생은, 효인생신(梟印生身), 비겁생식상, 식상생재, 재생관살, 관살생효인, 효인생비겁의 6종류의 작용 방식이 있다.
천간의 극은, 관살극신(官殺剋身), 관살극비겁, 비겁극재, 재극효인, 효인극식상, 식상극관살의 6가지 종류의 작용 방식이 있다. 이렇게 하여 천간의 십신 작용 방식은 36종류가 있게 된다.
지지의 합은, 생합(生合)과 극합(剋合)으로 나누어서 분석해야 한다.
생합은, 비겁합효인, 효인합비겁, 효인합관살, 관살합효인, 관살합재, 재합관살, 재합식상, 식상합재, 비겁합식상, 식상합비겁의 10종류의 작용 방식이 있다.
극합은, 식상합관살, 관살합식상, 비겁합재, 재합비겁, 효인합식상, 식상합효인, 관살합비겁, 비겁합관살, 재합효인, 효인합재의 10종류의 작용 방식이 있다.
지지의 충은, 효인충식상, 식상충효인, 관살충비겁, 비겁충관살, 재충효인, 효인충재, 식상충관살, 관살충식상, 비겁충재, 재충비겁의 10종류의 작용 방식이 있다.
지지의 형은, 단지 발동의 뜻이 있는 것으로 본다.
지지의 해는, 未가 子를 해할 수 있고, 卯가 辰을 해할 수 있는 것 외에는 모두 발동의 뜻이 있는 것으로 본다.
지지의 생은, 효인생비겁, 비겁생식상, 식상생재, 재생관살, 관살생효인의 5가지 종류의 작용 방식이 있다.
지지의 극은, 관살극비겁, 비겁극재, 재극효인, 효인극식상, 식상극관살의 5가지 종류의 작용 방식이 있다. 이렇게 하여 지지의 십신 작용 방식은 모두 42종류가 있게 된다.
실례를 들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呂文藝, 2003 : 56-57)
丙 壬 辛 乙
午 辰 巳 酉
시 일 월 년
庚辰 대운이 되면, 십신은 3종류의 작용 방식이 있게 된다. ① 대운의 庚 효인이 년간의 상관 乙을 합하고, ② 대운의 庚 효인이 일간 壬을 생하고, ③ 대운의 지지 辰 칠살이 년지의 인성 酉를 합한다.
己卯 대운이 되면, ① 대운의 己 정관이 일간 壬을 극하고, ② 대운의 己 정관이 월간 인성 辛을 생하고, ③ 대운의 지지 상관 卯가 년지 인성 酉를 충하고, ④ 대운의 상관 卯가 일지 칠살 辰을 해한다.
己卯 대운 중 戊申 유년이 되면, ① 유년의 편인 申이 월지 재성 巳를 합하고, ② 유년의 戊 칠살이 월간의 인성 辛을 생하고, ③ 유년의 戊 칠살이 일간 壬을 극한다.
여기서 유의할 점이 있는데, 생극 자체는 동(動)으로 보지 않고, 형충합해가 될 때만 동으로 본다. 생극이 있다고 해도 십신 작용 방식에서 길흉이 나타나지는 않으며, 오직 동할 때만 길흉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전통 명리학과 구별되는 여씨 명리학의 특징이다.
그렇다면 십신의 작용 방식에서 어떤 경우에 길흉이 나타나는가?
① 십신이 동하면 길흉이 나타난다. 동하는 것이 가장 원초적인 길흉 판단의 기준이 된다.
② 일간이 진기했는지 퇴기했는지, 동하는지 정하는지의 여부를 본다. 일간이 진기하거나 동했을 때는 길흉이 분명하게 나타나고, 퇴기하였거나 동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십신의 작용 방식에서 길흉이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결국 십신의 작용 방식에서 길흉이 나타나는 조건은 십신이 동할 것과 일간이 진기하거나 발동할 것의 두 가지이다. 전통 명리학에서는 운에서 오는 십신은 대부분 자동적으로 생하고 극하는 작용을 하면서 그에 해당하는 길흉이 나타난다고 보는데 비해 여씨 명리학은 길흉이 나타나는 조건을 엄격하게 분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呂文藝, 2003 : 60-63)
甲 戊 庚 丙
寅 申 寅 午
시 일 월 년
癸巳 대운의 甲戌 유년이 되면, 십신의 작용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게 된다. ① 유년의 甲 칠살이 년간의 丙 인성을 생하고, ② 유년 甲 칠살이 월간의 식신 庚을 충하고, ③ 유년 甲 칠살이 일간 戊를 극하고, ④ 유년 戌 비견이 년지 인성 午를 합하고, ⑤ 유년 戌 비견이 월지 칠살 寅을 합하고, ⑥ 유년 戌 비견이 시지 칠살 寅을 합하고, ⑦ 유년 戌 비견이 일지 申 식신을 생한다.
이와 같은 7종류의 십신 작용 방식 가운데 동한 십신으로는 丙, 午, 庚, 寅, 甲이 있고, 동하지 않은 십신으로는 일간 戊와 일지 申이 있다. 이에 근거해서 길흉의 나타남에 대해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의 생 작용은 길흉이 나타나지 않는다.
②의 충 작용에서는 길흉이 나타난다.
③의 일간을 극하는 작용에서는 길흉의 작용이 나타난다.
④에서는 일간이 진기하므로 비겁합인의 길흉이 나타난다.
⑤와 ⑥에서는 일간이 진기하므로 비겁합살이 되어 길흉이 나타난다.
⑦에서는 일지 申이 생을 받을 뿐 동하지 않으므로 길흉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십신 작용 방식에서 길흉이 나타나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에 대해서 여씨 명리학은 두 가지 이유, 즉 십신 자체가 지니고 있는 대표적인 길흉의 의미와 십신끼리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길흉의 의미를 들고 있다. 이 두 가지 의미에 대해 더 자세히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십신의 기본적인 대표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관살 : 사업과 권력, 소인의 침해.
재성 : 재물, 권력의 근원, 체력소모.
식상 : 재물의 근원, 기운을 빼냄.
비겁 : 손재, 내 몸을 도움.
효인 : 사업, 내 몸을 도움, 인장과 권력.
② 예측 사안에 따른 의미는 다음과 같다.
관운 예측 : 관살은 관직, 효인은 임명장과 권력, 재성은 권력의 근원, 식상은 막힘, 비겁은 막힘과 경쟁.
재운 예측 : 관살은 재물소모, 효인은 사정(事情), 재성은 재물, 식상은 재물의 근원, 비겁은 손재.
사고 질병 예측 : 관살은 질병과 사고, 효인은 조력자와 의사, 재성은 병증, 식상은 의약품, 비겁은 건강.
관재구설 예측 : 관살은 타인의 사정, 효인은 소장(訴狀)과 시비, 재성은 이유, 식상은 자기의 사정, 비겁은 동지와 조력자.
감옥 예측 : 관살은 감옥, 효인은 죄행, 재성은 사정, 식상은 변호사, 비겁은 동지와 조력자.
혼인 예측 : 관살은 남편, 부인의 친정, 효인은 양측의 가정, 재성은 자기의 실력 또는 여친, 식상은 친구와 자기의 실력, 비겁은 내 가정이거나 내 친구.
십신의 작용 방식은 생극과 형충합해의 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그 길흉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십신이 주동(主動)과 피동(被動)이 다르고, 주동의 십신과 피동의 십신이 나타내는 길흉의 의미가 다르기 때문이다. 동일한 십신이라고 하더라도 주동과 피동에 따라 길흉의 의미가 달라진다. 주동과 피동이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주동 십신은 대운을 볼 때와 유년을 볼 때와 유월을 볼 때와 유일을 볼 때 각각 달라진다.
② 대운을 볼 때는 대운의 천간과 지지가 주동 십신이 되고 원국의 천간과 지지는 피동 십신이 된다. 이 경우에 원국 안에서는 발동한 십신 상호간에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생극하는 글자가 주동 십신이 되고 생극을 받는 글자가 피동 십신이 된다. 진기 발동하여 다른 글자를 충합하는 글자가 주동 십신이 되고 퇴기 발동하여 합충을 받는 글자가 피동 십신이 된다. 형해의 경우에는 생극하는 글자가 주동 십신이 된다.
③ 유년을 볼 때는 유년의 간지가 주동 십신이 되고 발동한 대운의 간지 역시 주동 십신이 된다. 유년 간지의 십신과 대운 간지의 십신을 비교하면 유년 간지가 주동이 되고 대운 간지가 피동이 된다. 유년 간지와 원국 간지를 비교하면 유년 간지가 주동이 되고 원국 간지가 피동 십신이 된다. 대운과 원국의 비교에서는 발동한 대운 간지가 주동이 되고 원국 간지가 피동이 된다.
실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呂文藝, 2003 : 67)
辛 辛 戊 戊
卯 未 午 寅
시 일 월 년
辛酉 대운이 되면, 대운의 辛酉가 모두 주동 십신이 된다. 원국에서 발동한 십신 卯는 피동 십신이 된다. 壬戌 대운이 되면, 대운 壬 상관과 戌 인성이 모두 주동 십신이 되고, 원국의 재성 寅과 관성 午와 인성 未와 재성 卯와 인성 戊와 비견 辛은 모두 피동 십신이 된다.
주동 십신과 피동 십신은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지 분석해야 하는데, 주동 십신은 길흉 발생의 원인이 되고, 피동 십신은 길흉 발생의 결과가 된다. 이것을 세분화해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① 십신의 작용 방식이 합(合)이 될 때는 다음과 같이 길흉이 나타난다.
주동 십신이 대표하는 의미가 길이고 피동 십신이 대표하는 의미도 길이라면 작용 결과가 길(吉)로 나타나는데, 길의 결과는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인 길과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인 길의 양 방면에서 나타난다.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는 길이고 피동 십신의 의미가 흉일 때는 작용 결과가 길로 나타나는데, 길의 결과는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인 길과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인 흉의 반대 측면이라는 두 방면으로 나타난다.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흉이고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흉이라면 그 작용 결과는 길흉 혼잡으로 나타나는데, 길의 결과는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인 흉의 반대 측면에서 나타나고, 흉의 결과는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인 흉의 측면에서 나타난다.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흉이고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길이라면 그 작용 결과는 흉으로 나타나는데, 흉의 결과는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인 흉과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인 길의 반대 측면이라는 두 가지 방면에서 나타난다.
② 십신의 작용 방식이 충(沖)이 될 때는 다음과 같이 길흉이 나타난다.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길이고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길이면 그 작용 결과는 길로 나타나는데, 그 길의 결과는 주동 십신과 피동 십신이 대표하는 길의 두 가지 방면에서 나타난다.
주동 십신의 의미가 길이고 피동 십신이 흉이라면 그 작용 결과는 길로 나타나는데, 길의 결과는 주동 십신의 길과 피동 십신의 흉의 반대 측면이라는 두 가지 방면으로 나타난다.
주동 십신이 흉이고 피동 십신도 흉이라면 그 작용의 결과는 길흉 혼잡으로 나타나는데, 길의 결과는 피동 십신인 흉의 반대 측면에서 나타나고 흉의 결과는 주동 십신인 흉의 측면에서 나타난다.
주동 십신이 흉이고 피동 십신이 길이면 그 작용 결과는 흉으로 나타나는데, 흉의 결과는 주동 십신의 흉의 측면과 피동 십신의 길의 반대 측면이라는 두 가지 방면에서 나타난다.
③ 십신 작용 방식이 형(刑)과 해(害)가 될 때는 단지 발동의 의미가 있는데 생극 작용의 의미로 길흉을 결정한다.
④ 십신 사이의 작용 방식이 생(生)이 될 때(주동 십신이 일간 이외의 피동 십신을 생할 때)에는, 피동 십신과 일간 사이의 작용 방식으로 길흉을 결정한다.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길일 때는 다음과 같은 길흉이 나타난다. 일간을 생하면 길한 결과가 나타나는데,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사건 발생의 원인이고 피동 십신이 대표하는 길이 결과로 나타난다. 피동 십신이 일간을 극할 때는 결과가 흉으로 나타나는데 주동 십신이 사건의 원인이고 피동 십신이 사건의 결과로서 흉하게 나타난다. 피동 십신이 일간을 합할 때는 작용 결과는 길로 나타나는데 주동 십신이 사건의 원인이고 피동 십신이 사건의 결과가 되어 길하게 나타난다.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길이고 일간을 충(衝)할 때는 작용 결과가 길로 나타난다.
피동 십신의 대표 의미가 흉이면 일간을 생극충합하는 모든 경우에 그 결과는 피동 십신이 대표하는 흉으로 나타난다. 일간을 합충극하면 대흉하고, 일간을 생하면 소흉하다.
⑤ 주동 십신과 피동 십신의 작용 방식이 극(克)일 때(주동 십신이 일간 이외의 피동 십신을 극할 때)에는, 피동 십신과 일간 사이의 작용 방식으로 길흉을 결정한다.
피동 십신의 의미가 길일 때는 피동 십신이 일간을 생극합충하는 모든 경우에 그 결과는 길로 나타나는데, 그 길의 원인은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에 있다.
피동 십신의 의미가 흉일 때는 피동 십신이 일간을 생극합충하는 모든 경우에 흉의 결과가 대폭 줄어들어 나타난다. 흉을 감경하는 원인은 주동 십신의 대표 의미에 있다.
⑥ 십신이 직접 일간에게 작용할 때의 길흉은 다음의 원리에 따른다. 십신이 일간을 합하거나 충하거나 생할 때는, 그 십신이 길을 대표하면 길의 결과로 나타나고 그 십신이 흉을 대표하면 그 결과가 흉으로 나타난다. 십신이 일간을 극할 때는 그 십신이 대표하는 의미가 길이든 흉이든 모두 흉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