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命理의 진가(眞假)를 분별하여 배워야 한다.
늘 역우(易友)들이 편지로 나에게 말하기를 "자기는 명리를 배운지 10여 년이나 심지어는 몇 십 년을 배워, 함수반(函數班)이나 면수반(面授班)에 참가한 것이 적지 않았으나 단명(斷命)을 자신 있게 할 수 없었다고 하였다.
그들이 배운 것에 따르면 무엇을 보고 무엇을 배웠던 지간에 배운 것이 좋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배우면 배울수록 더욱 모호하다는 것이다.
현재 대사들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각 대사들은 또 자기만의 독특한 비법이 있다고 한다. 만일 당신들이 그들에 대한 진가(眞假)를 분별하지 못하고 맹목적으로 가서 배운다면 결과는 시간과 돈을 낭비하게 될 뿐 아니라 결과적으로 다시 아무것도 얻지 못할 것이다.
만일 당신이 명리를 배우고자 생각한다면 먼저 구비할 것은 돈이 아니고 바로 혜안(慧眼)을 갖추고 명리의 진가를 분명하게 가려낼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알기로는 법(法)과 파(派)중에 대부분은 모두 말로 군중의 심리에 연합하여 신임이나 칭찬을 받는 것으로 이러한 대사나 전문가들은 진재(眞材)나 실학(實學)이 없고 단지 자기를 선전하는데 능수능란할 뿐이다. 나는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명학의 법칙과 규율을 분명하게 이해하여 하나의 새로운 명학관(命學觀)을 세우기 바란다.
현재 명학계에서 유행하는 잘못된 것이 아주 많은데 종합하면 아래의 몇 종류가 될 것이다.
① 팔자(八字), 대운(大運), 유년(流年)간에 작용하는 법칙을 알지 못하고, 단지 진부한 옛날의 술어를 이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천극지충(天克地沖)" "세운병림(歲運幷臨)" "증태세(征太歲)" 등등으로 이러한 추단(推斷)은 오히려 분명하지 않은 말들이다. 실제로 이러한 술어는 모두 그 응용하는 조건이 있으며 아울러 그런 상황을 만난다고 해서 곧 바로 응험하는 것이 아니다.
② 추명(推命)에는 삼합(三合), 육합(六合), 형(刑), 충(沖), 극(克), 해(害)를 보는 것이 중요한데, 어떤 사람은 오히려 간지(干支)가 작용하는 규율을 알지 못하고, 한 가지 간단한 공식을 찾아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좋아할 뿐으로, 예를 들면 3개가 1개를 충(沖)하면 어떻고, 1개가 3개를 沖하면 어떻고, 3刑이 서로 만나면 어떻고, 六合을 만나면 곧 化가 필요하고, 三合局을 만나면 오히려 불화(不化)한다(透干한 것이 있으면 비로소 化한다는 등등의 잘못된 설들이다.) 이러한 기본 관계적인 잘못에 대하여 초학자들에게 인식 상에 혼란을 야기하여 學命하는데 큰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③ 육친(六親_을 보는 것은 단명(斷命)하는데 있어 중요한 내용으로, 육친은 八字중에 허다한 류상(類象)이 있어 한 가지로 고정된 것이 아니다.
어떤 사람은 이러한 것을 알지 못하고 석명(釋命)할 때에 무조건 편재(偏財)를 父(아버지)로 보고 사망한다고 한다. 이러한 말은 단지 비겁(比劫)이 왕(旺)할 때에 비로소 능히 극부(克父)할 수 있고, 일주가 약(弱)한 명은 父가 죽지 않는다는 말인가?
또 편재가 없는 사람은 父가 없다고 말할 수 있는가? 실재적인 류상(類象)은 다시 많이 있다. 이런 경직된 논명사고(論命思考)는 단지 많은 왜곡된 이치와 사설(邪說)을 야기한다. 책을 쓴 사람이 엉터리로 통한 것을 가지고 책을 읽은 사람이 참이라고 믿게 호도하는 것이다.
④ 한 가지 이론이 있는데 단지 일주의 쇠왕(衰旺을 가지고 팔자의 용신(用神)을 취한 후에 팔자중에 그 밖의 七字를 기신(忌神)과 용신의 두 파(派)로 나눈 다음 분석을 진행하여 기신(忌神)을 克하고 용신(用神)을 생하면 吉이고, 용신을 극하고 기신을 생하면 흉하다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은 정확하게 보는 것 같고 또한 아주 쉽게 장악한 것 같으나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일주의 쇠왕(衰旺)을 정확하게 확정할 방법이 없다. 즉 그 쇠왕을 안다 해도 쇠왕의 정도를 또한 장악할 방법이 없다. 왜냐하면 일단 과왕(過旺)하거나 과약(過弱)하게 되면 곧 종격(從格)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중요한 것은 일주를 쇠왕으로 논명(論命)한 후에는, 명학(命學)으로 인생의 만상(萬象)을 표현하는 능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왜냐하면 우리는 생활 중에 어디가 좋은지 어디가 나쁜지를 이렇게 간단하게 구별한다는 것은 일상의 생활은 풍부하고 복잡한 것이 많다는 것이다.
요컨대 명을 잘 배우려고 생각한다면 철저하게 이러한 잘못된 가르침을 버리고 정확한 명학관을 수립해야 한다. 명학은 자기 스스로 엄격한 규율(規律)이 있으므로, 당신이 그것들을 명백하게 이해하게 되면 곧 하나의 새로운 경계를 열게 될 것이다.
◈ 이런 것들에 대해 나는 아래에 개괄하겠다.
一 , 팔자로 귀천(貴賤)을 보고, 대운은 길흉을 보고, 유년으로는 응기(應期)를 본다. 다시 팔자의 원국(原局)은 아주 중요한데, 대운과 유년은 바로 원국에 나타난 상(象)에 시간적인 응기를 정하는 것이지 간단한 역량(力量)의 대비(對比)가 아니다.
인생에 있어 대사는 먼저 팔자중에 상이 나타나 있음을 알고 그런 연후에 어느 단계의 대운에서 발생할 지를 판단하고 流年으로 이 일이 발생할 시간적인 응기를 확정해야 한다.
응기에는 허다한 법이 있는데, 충극(沖克)을 받아 출현(出現)하는 응기가 있고 동(動)한 것이 합(合)을 만나는 응기가 있고 천간(天干)에 허투(虛透)하였는데 통록(通祿)하는 응기가 있고 지지(地支)가 제(制)를 받고 있는데 투간(透干)하는 응기을 만나는 등등의 유형이 있다.
만일 용신을 찾아 그 길흉을 본다면 용신 유년이 길하고 기신 유年이 흉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유년은 단지 길흉의 응기를 관활할 뿐, 희기(喜忌)를 위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용신 유년이 制를 받으면 오히려 흉하고, 기신 유년이 克을 받으면 오히려 길하다. 이것이 논명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원칙이다.
(二) 역경(易經)의 많은 예측술은 모두 빈주(賓主)의 구분이 있고, 육효는 세효로 주(主)를 삼고 응효(應爻)및 日月과 변효(變爻)로 賓을 삼는다. 명리중에 빈주의 구분에는 몇 단계가 있다.
먼저 일주를 주로 하고 다른 간지는 빈이 된다.
또 일주를 주로 하고 다른 주는 빈으로 한다.
일시의 주를 주로 하고 년월의 주를 빈으로 한다.
다시 팔자를 주로 하고 대운과 유년은 빈으로 한다.
팔자와 대운을 주로 하고 유년을 빈으로 한다.
최후에는 대운과 세운이 주가 되고 팔자가 빈이 된다(응기도 됨)
다만 客作用이 主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것은 상반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대운과 유년이 객의 입장에서 반대로 주가 되어 출현할 때가 바로 이 신을 일종 응기로 표시하는데 길흉의 일은 그 국상(局象)에 의거하여 분별한다.
(三) 나는 활론(活論) 육친(六親)을 주장하는데, 예를 들면 父를 보는데 편재로 부를 삼는 것은 단지 일반적인 간법(看法)이고, 실제로는 관성(官星)과 인성(印星)도 또한 父가 될 수 있다. 만일 단지 편재로만 父를 삼아 부친의 상황을 맞추려고 한다면 팔자에 편재가 없거나 혹은 편재가 없거나 혹은 편재로 父를 삼을 수 없는 것이 1/3, 2/3는 될 것이다. 父星, 母星, 妻星, 夫星, 子女星은 모두 活論이 필요하다. 그러나 활론이라고 해도 조금도 순서나 절차가 없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따라야 할 규율이 있다.
(四) 八字, 大運, 流年간의 三合과 六合, 刑, 沖, 克. 害의 작용에 모두 규율이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천간 五合에는 곧 5종의 合法이 있다: 합거(合去), 합상(合傷), 합류(合留), 합동(合動), 합변(合變)이고, 지지의 六沖에는 5종의 沖法이 있다: 충파(沖破), 충거(沖去), 충동(沖動), 충개(沖開), 충왕(沖旺)이 있고 다시 삼합과 육합, 會局의 다른 용법이 있다. 이러한 것은 간단한 것 같이 보이나, 마치 모두 명백한 물건에 풍부하고 복잡한 내함(內函)이 포함되어 있는 것 같은데, 만일 이러한 명학의 기본 작용 관계에 대하여 분별하지 않는다면 영원히 단명을 이해하지 못할 까 걱정이 된다.
인생에는 많은 복잡한 문제가 있고 명학의 내함(內函)에도 많은 복잡함이 있다. 우리들의 조상들은 이러한 체계를 창조하여 그 광범위한 류상과 포괄성을 갖추게 된 까닭에 확실하고 잘못됨이 없는 예측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므로 명리의 진가를 분별하는 것은 아주 간단하데 곧 그것의 법칙을 보는 데는 정리(情理)가 통하는지와 아닌지와, 인정(人情)과 세사(世事)의 일반규범에 통하는 가이다. 거짓된 물건은 자세히 생각하면 그것이 합리성이 없다는 것이고 원리가 없이 억지로 짜 맞추어 만든 것으로 반드시 그런 것들은 버려야 할 것이다. 아래에 나는 몇 개의 실례를 들어 설명하겠다.
≪ 四柱豫測答疑編≫ 제 38P 一例
乾造:
丁 己 壬 丁
卯 未 寅 亥
작자는 하나의 명례(命例)를 강해(講解)하면서 천간 오합의 化와 不化의 문제에 대해 丁壬은 본래 合하여 木으로 化한다고 말하면서, 甲乙이 투간(透干)하지 못했기 때문에 "丁壬化火論"에 따라서 이러한 亥卯未는 木의 인간(引干)이 없어 삼합목국은 성립하지 못하고, 일간은 곧 신왕으로 변하게 되니 응당 財를 취하여 용신으로 해야 한다고 하였다. 癸亥年에 진재(進財)하는 기쁨이 있다고 하였는데 응험했다.
나는 이러한 해석의 일구(一句)는 모두 맞지 않는다고 본다. 이 일주는 분명히 약한 명인데 어째서 쉽게 왕(旺)으로 변할 수 있겠는가? 작자는 癸亥年에 財를 얻었다고 해석한 것은 짜 맞춘 것이라 하겠다.
면저 천간 오합에 丁壬이 化火할 가능성은 없다(어떠한 고서에도 이렇게 말한 것이 없으며 이것은 작자가 스스로 발명한 것이다) 다시 亥卯未 木局의 불성(不成)은 木이 투(透)하거나 투하지 않거나에 관계없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조는 신약으로 겁인(劫印)을 쓰고 財官은 기신이 되고, 丁壬合과 寅亥合으로 기신이 합반(合絆)되었고, 亥는 묶여 三合 木局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卯未 半合局은 성립한다.
戊戌運으로 행하자 卯戌 六合으로 卯未의 半合을 푸니 길하다;
癸亥年은 忌神인 財星이 출현하였는데 大運 戊土와 합반(合絆)하여 “기신을 제거(制去)하는데 기신을 얻으면” 기쁘니 이것이 得財하는 응기가 된다. 寅亥合은 또 兩忌神이 合絆하니 길로 논한다.
당연히 이 책 중에 잘못된 곳이 이 한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니지만, 지면의 제한으로 재론하지 않겠다. 명리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은 바로 논명의 사상을 장악하는데 있다. 어찌하든 팔자의 원국(原局)에서 나타내는 뜻을 이해해야지, 일주의 쇠왕(衰旺)이나 심지어는 어떤 용신을 찾을 필요가 없다. 나는 몇 개의 팔자를 말하여 어떤 것이 명리의 원상(原象)인지를 대가들이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예1) 乾造:
丙 庚 丙 甲
子 申 子 午
이 팔자는 록(祿)을 깔고 앉았는데, 상관(傷官)이 또 旺하다. 상관의 작용은 生財하러 가는 것이 아니다. 의향(意向)은 制官에 있으니 바로 "傷官去官格"으로 당연히 관명(官命)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니 그는 응당 하나의 치리(治理)를 맡은 한 관인(官人)이다.
다시 官星 午火를 보면 위의 허재(虛財)가 생하고 있으니 이것은 그가 制하는 官은 반드시 財와 관계가 있고, 이 財가 생하는 官은 그의 制을 당하고 있으니 통속적으로 말하면 그는 전문적으로 탐관(貪官)하는 사람을 制하는 사람이라고 하겠다. 실제로 그는 한 사람의 강직하고 바른 검위서기(檢委書記)이다.
庚辰運에 일주가 운(運)에서 이르니 수국(水局)이 홍기(洪起)하여 승직하였다. 辛巳, 壬午運에도 또한 길한데, 壬午運에는 중권(重權:중요한 권력)을 장악한다고 단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