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자료를 조사해보아도 다음과 같은 수가 등장한다. 진정한 학인이라면 취사선택을 할 것이 아니라 왜 이렇게 분류가되었는 지를 연구하여 하나의 논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본다. 한가지만을 고집하려면 다른 논리를 공부한 후에 하는 것이다.
① 일간의 합으로 보는 방법
② 지지(특히 일지)의 육합과 반회
③ 天剋貴賤(명리정종의 천간의 관계)
④ 十二運星法
⑤ 납음으로 보는 방법
⑥ 守護神(난강망의 응용)
⑦ 身旺/身弱
⑧ 五行의 균형
⑨ 同一십신으로 보는 방법
⑩ 日干支의 有無로 보는 방법
⑪ 宿曜経으로 보는 방법
⑫ 팔자 상사계수로 보는 방법
⑬ 전통적인 방법(去病法/결혼정보법/종합법)
⑭ 대체십신법
출처 : 역학동
글쓴이 : 도현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