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와 疾病
1. 전제조건
명리학에서 논하는 질병이나 증상론은 결코 맹신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은 모두 알 것입니다. 또한 병은 의사에게 병원으로 찾아가야 할 것입니다. 예방을 위하여는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건강검진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명리학에서 말하는 건강과 질병론은 우선 그 한계를 분명히 하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그 용법은 명리학을 응용하여 문제가 될 부분을 건강검진이나 평소의 식생활에서 주의를 환기하는 용도에 활용하면 되는 것입니다. 이하는 명리학자들이 접근한 건강과 질병에 대한 글입니다.<대만과 중국, 한국어에 능통하다고 하는 일본학인의 글을 주로 참조하였습니다>
2. 漢方의 基礎知識
여기에서는 한방에 관한 지식을 대충 개괄적으로 봅니다. 팔자는 한의나 중의를 잘 모르기 때문에 번역하는 수준입니다.
(1) 気, 血, 津液
우선은 기, 피, 진액에 대한 것입니다. 기라고 하는 것은 구체적인 물질로 옮겨놓는 것은 어렵습니다만, 생명, 에너지를 생기게 하는 것 혹은 전달하는 물질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입니다. 보통의 생각과 다른 것은 중의에서는 추상적인 물건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물질이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공기도 기의 하나이고, 근육의 운동을 주관하는 ATP도 기의 물질의 하나로 생각해도 좋을 것입니다. 또 그 ATP에 지령을 주는 신경전달물질도 기의 하나로 파악해도 괜찮을 것입니다. 血은 혈액과 거의 같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입니다. 엄밀히는 다릅니다만 여기에서는 상술은 생략합니다. 진액은 신체에서 보면 수분의 총칭입니다. 세포액도 그렇고 눈물이나 땀등도 포함합니다.
(2) 五臓六腑
오장육부라고 일컬어 지는 것이 많습니다만, 오장과 육부는 기능을 달리합니다. 오장이라고 하는 것은 기, 혈, 진액을 대사(유통), 저장하는 부위나 그런 작용을 가리킵니다. 육부라고 하는 것은 섭취물을 소화, 운반하고, 기, 혈, 진액을 만들거나 혹은 배설하는 부위나 작용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오장은 肝, 心, 脾, 肺, 腎이며, 육부는 膽, 小腸, 胃, 大腸, 膀胱, 三焦입니다. 이 중 삼초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장기는 없습니다만, 오장과 남는 오장간의 기혈진액의 교환을 통할하고 있는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3) 陰陽
음양의 개념은 중의에서는 약간 어려운 개념입니다. 개략적으로 말하면 신체상에 있는 것이 양이고 아래에 있는 것이 음, 기에 관련되는 장기가 양이고 피나 진액에 관련되는 장기가 음, 熱症이 되기 쉬운 경우가 양, 寒症이 되기 쉬운 것이 음, 목화가 양, 금수가 음이라고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만, 이러한 분류는 너무 간단하여 설명으로서는 불충분합니다.
(4) 実虚
이것도 여러가지 말하는 방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기능이 충분히 작동하고 있는 경우를 실, 기능이 약해지고 있는 상태가 허라고 이해합니다. 따라서 충분히 건강한 사람은 실이고, 마른 듯한 느낌의 사람은 건강해도 허로 합니다. 병의 경우는 병의 원인(사기)이 작동하여 겉으로 나와 있는 경우를 實症, 병의 원인은 그다지도 불분명한데 인체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병이 되고 있는 경우를 虛症이라고 합니다.
(5) 六気
風, 暑, 熱, 湿, 燥, 寒을 六氣라고 합니다.
風이라고 하는 것은 動이며 옮기는 것입니다. 또 다른 기를 옮기거나 빼앗거나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暑는 더운 날씨의 이미지입니다. 기나 진액을 소모합니다. 많게는 濕을 수반합니다.
熱은 火입니다. 더위보다 한층 더 강한 이미지로, 기나 진액을 소모해, 피를 불순하게 합니다. 음양조절을 깨는 작용도 있습니다. 많음 경우 燥입니다.
濕은 수분을 모으는 이미지로 그 물이 무겁고 더러운 이미지가 됩니다. 양기를 파괴한다고 여겨집니다.
燥는 건조하고 윤택이 없는 상태입니다. 수분을 모아서 담지 못하고 진액을 손상시킵니다.
寒은 냉기입니다. 또 기나 피의 흐름이 막히는 것도 있습니다. 근육이 움츠러든다고 하는 작용도 있습니다.
(6) 七情
칠정이란, 일곱 개의 감정 상태이며, 喜, 怒, 思, 憂, 悲, 恐, 驚입니다. 이 일곱 개의 감정에 의한 자극이, 장부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칠정과 오장의 관계입니다만, 희는 마음, 노는 간, 사는 비, 우비는 폐, 공경은 신장에 작용한다고 여겨집니다.
3. 오행, 간지와 臓腑
오행설에서는 삼라만상을 오행에 적용시키고 있습니다. 당연히 오장도 오행에 배당되고 있어 이용합니다.
木 |
火 |
土 |
金 |
水 |
肝 |
心 |
脾 |
肺 |
腎 |
胆嚢 |
小腸 |
胃 |
大腸 |
膀胱 |
風 |
暑熱 |
湿 |
燥 |
寒 |
怒 |
喜 |
思 |
悲憂 |
恐驚 |
目 |
舌 |
口 |
鼻 |
耳 |
筋 |
脈 |
肌肉 |
皮毛 |
骨、脳 |
代謝機能 |
循環機能 |
消化機能 |
呼吸機能 |
泌尿機能 |
간지의 배정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양한 생각이 있는 것 같고 책에 따라서 다릅니다만 우선 다음을 취합니다.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胆嚢 |
肝臓 |
小腸 |
心臓 |
胃 |
脾臓 |
大腸 |
肺 |
膀胱 |
腎臓 |
頭部 |
目 |
肩 |
胸 |
腋 |
腹部 |
臍 |
大腿 |
脛 |
足先 |
手 |
指 |
喉、歯 |
舌 |
肌 |
口 |
肋膜 |
鼻、歯 |
子宮 |
耳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膀胱 |
脾 |
胆 |
肝 |
胸 |
面部 |
目 |
胃 |
大腸 |
小腸 |
命門 |
腎臓 |
水道 |
胞絡 |
毛髪 |
指 |
皮膚 |
喉、歯 |
頭部 |
横隔 |
経絡 |
精血 |
腿 |
頭部 |
耳部 |
子宮 |
手足 |
・ |
肩 |
肛門 |
精神 |
脊椎 |
肺 |
・ |
足 |
陰嚢 |
4. 체질과 命式
여기에서는 체질과 명식에 대해서 설명합시다. 인간의 신체는 사주팔자로 밝혀질 만큼 단순하지는 않습니다. 여기서의 이야기는 어디까지나“감”에 불과합니다. 한방으로 말해지는 체질의 분류에는, 음양, 실허, 한열이 있습니다. 일본 한방에서는 이러한 분류입니다만, 육기에서 소개한 것처럼, 조습이라고 하는 분류도 또 중요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 음양, 실허, 한열, 조습은 어떤 식으로 신체에 나타날까요. 간단히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고 여겨집니다.
陽:実, 熱, 燥의 체질이 되기 쉽다. 外向的. 陽気.
陰:虚, 寒, 湿의 체질이 되기 쉽다. 内向的. 陰気.
実:단단한 체격으로 食欲旺盛. 감기에 걸리지 않음. 약간의 변비
虚:날씬한 체격으로 입이 짧다. 감기에 걸리기 쉽고 설사
寒:추위를 타는 사람. 소변을 자주본다. 냉한 체질. 빈혈
熱:더위를 타는 사람. 고변의 빈도가 적다. 수족이 덥다. 핏기가 많다.
燥:皮膚가 건조하가. 소변량이 많다. 변비, 식은 땀
湿:身体 수분이 많다. 소변량이 적다. 소변을 자주본다. 설사, 가래가 잘 나온다.
조금 보충하면 음양의 개념은 설명이 어렵기 때문에 생략하고 실허라고 하는 것은 에너지의 생성과 소비의 정도, 열한이라고 하는 것은 열량의 생성 소비의 정도, 조습이라고 하는 것은 신체에 있어서의 수분의 보관 유지의 정도에 근거하는 분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체질과 명식의 관계는 나름대로 정리해 보면, “대략”다음과 같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양:명식에서 양 간지가 많고 강함
음:명식에서 양 간지가 적다(즉 음간지가 많다)
실:일주, 용신이 강함(다만 종격을 제외하다)
허:일주, 용신이 약(종격제외)
한:금수가 많고 화가 약하다.
열:화(목토)가 많고 강하다.
조:명식중(특히 지지)에 물이 적다
습:명식중(특히 지지)에 물이 많다
이러한 체질 분류와 앞의 오행에의 장부의 배당으로부터 질병을 추측하는 것이 됩니다. 다음에 그 방법론입니다.
5.「滴天髄」의 疾病論
질병에 대해서는 고서에서는 「적천수」가 가장 자주 인용됩니다. 우선 그 원문을 봅시다.
【原文】
五行和者, 一世無災。血気乱者, 平生多疾。
忌神入五臓而病凶、客神遊六経而災小。
木不受水者血病、土不受火者気傷。
金水傷官、寒則冷嗽、熱則痰火。
火土印綬、熱則風痰、燥則皮痒。
論痰多木火、生毒鬱火金。
金水枯傷而腎経虚、水木不相勝而脾胃泄。
【訳】
오행의 균형이 맞고 있으면 건강하고, 혈기(한방으로의 기와 혈이지만, 수화의 의미라고 취하는 사람도 있다)가 흐트러지는 사람은 자주 아프다.
명식중의 기신이 작동하면 그 부위가 병이 되는 것이고, 행운에서 기신이 찾아오는 것은 그것만으로는 병은 가볍다. 객신이라 함은 유년, 유월 간지이다.
목이 물을 받지 못하면 피의 병이고 토가 화를 받지 못하면 기가 손상된다.금수 상관은, 寒 체질의 경우는 찬기침의 증상이 나오고, 熱 체질의 사람은 담화(가래)의 증상이 나온다. 찬 기침의 증상이란 이른바 코감기의 증상과 같다. 담화의 증상은 건조하고 입이 마르고 목이 붓거나, 담에 피가 섞이는 등의 증상이다.
화토인수는 熱체질의 경우는 풍담의 증상이 나오고, 燥체질의 경우는 피부가 가려워진다. 풍담의 증상은 현기증, 구토, 목에 뭐가 얽히어 끌어 당기는 것
담(가래)에 관한 증상은 목화의 부조화, 독울(毒鬱)의 증상은 화금의 부조화스럽다. 독울의 증상은 신체표면이나 손발에 발생하는 붓기나 혹 화농등의 증상이다.
금수가 시들어 다치는 것은 신장계통의 허로 인하여 생기는 증상, 수목이 강하고 토가 약한 경우는 비장, 위의 좋지 않은 증상이 나오기 쉽다.(現代破訳滴天髄(鐘義明著)
짧은 문장입니다만, 진수를 다 말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포인트는, ① 오행의 밸런스가 필요한 것 ② 특히 그 중에서도 수와 화의 밸런스가 중요한 것이고, ③ 명식중에서의 기신의 작용을 보는 것에 있습니다.
종격이나 화격, 일행득기격 등은 오행적으로는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이므로 成敗상으로는 좋아도(부귀여도), 신체적으로는 좋지 않은 것이 많습니다.
6. 疾病을 보는 법(要訣)
좀 더 간결하게 써 있는 책의 일부를 발췌, 번역합니다.
명식에서 일주가 쇠약하고 있어도 행운에서 일주를 도우면, 대체로는 건강하고, 질병은 적거나 혹은 가볍다. 일주가 쇠약하고 더욱이 행운에서 일주를 돕는 일이 없다든가, 재관/식상등이 명식중에 있고, 행운에서 (일주)극이나 설이 있으면, 대체로 자주 아프다. 다만 그 운이 지나면 낫는다.
(1) 일주가 왕한 지, 일주가 약해도 행운으로 도우면, 건강하고 질병은 적다.
(2) 일주가 약하고, 또 행운에서도 도움이 없거나, 혹은 일주와 재관의 균형이 맞고 있어도, 행운에서 그 밸런스가 무너지면, 병이 많고 혹은 무거우면 죽기도 한다.
(3) 명식에 대하여 하나의 오행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하거나 하면, 대체로 는 그것의 해당 장부에 병을 일으킨다. 그러나 극제나 도설의 경중, 방조를 연구해 자세하게 분석후에 질병의 판단을 하면, 실수는 서서히 줄어 든다.
7. 古書에 의한 疾病判断
이하는 고서에 쓰여져 있는 질병 판단을 나열 한 것입니다. 적부의 보증은 할 수 없습니다.
· 편관이 너무 강한 것은 괴질, 안질, 다리가 나쁘다.
· 월주에 七殺, 상관등이 있고, 상관운에 가면 안질.
· 七殺이 많아 몸 약한 것은 노병(결핵).
· 편인이 식신을 극하는 것은 식도암.
· 편인이 많은 것은 병이거나 災禍.
· 목을 금에 손상당하면 근골이 아픔.
· 화가 수의 극을 당하면 시력이 나쁘다.
· 겨울 태생으로 화가 없으면 냉한 체질.
· 임계가 토을 보고 약하면 하반신이 약해진다.
· 상관이 많으면 하반신이나 근골이 다친다.
· 여성이 년주에 상관을 가지면 출산 대질.
· 재다신약으로 재운에 가면 질액
· 천월 2덕은 병이 적다.
· 식신이 편인에 극당하는 것은 산액.
· 금이 화의 충극을 받으면 주색으로 병이 된다.
· 약한 금이 강한 화에 맞으면 혈질환
· 금수가 시들고 상처를 받으면, 신장은 반드시 허.
· 금신이 수를 만나면 빈털터리에 대질의 사람.
· 금이 강한 목에 맞는 것은 근골을 손상시킨다.
· 금수의 병은 매독.
· 금수의 병은 腎經이다.
· 수목이 강한 것은 비위를 아프게 한다.
· 갑목에 화가 많은 것은 많게는 정신병.
· 화가 수의 극을 받으면 안질.
· 화극금은 폐를 아프게 한다.
· 병정이 경을 극하면 대장의 병.
· 병월에 화가 강한 것은 농아 중풍.
· 명식에 화가 많으면 젊어서 농혈의 재앙.
· 정오가 많고 未土가 있으면, 두창독창.
· 토극수는 뱃속의 병.
· 토가 허하여 수가 번성한 것은 불구
· 토지의 刑은 농아
· 토가 강하고 화가 있으면, 안질 열병.
· 일주가 왕하고 재관이 강하면, 손발의 절상
· 일주가 약하고 식상이 많으면, 머리가 혼미해지는 병
· 七殺과 편인이 있으면, 아내는 많지만 아이는 적고, 혈기 부진.
· 해자에게 미오가 있으면 안질.
· 해자가 많은 것은 허리가 아프다(병자, 임자시는 잘 들어맞는다)
· 묘유의 충이 있는 것은 낙태하여 아이를 극함
· 묘유의 충이 있는 것은 절름거림
· 인신의 세월충이 있는 것은 농아(이것은 나의 명식이 그렇습니다만, 전혀 들어맞지 않습니다)
· 형충합이 있는 것은 주색으로 집을 잃거나 병에 걸린다.
· 형이 많은 것은 장해가 남는다.
· 병이 명식중에 있으면 잦은 병치레, 행운에 있으면 운이 지나면 낫는다.
· 양인 겁재는 질병.
· 양인이 인을 만나면 귀에 병이 있다.
· 양인이 패지에 있는 것은 결핵이나 금/칼의 재앙.
· 양인이 많은 것은 산액, 월경 과다, 중년 후 냉한 체질.
8. 実例에 의한 説明
例題1
1955.1.19 卯時生/男命/八字応用学宝典
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印綬 |
- |
正官 |
偏財 |
己 |
庚 |
丁 |
甲 |
卯 |
辰 |
丑 |
午 |
胎 |
養 |
墓 |
沐浴 |
- |
印綬 |
己 |
月令 |
36 |
26 |
16 |
06 |
辛 |
庚 |
己 |
戊 |
巳 |
辰 |
卯 |
寅 |
오행의 힘을 보면, 토목화금의 순서에 강하고, 물은 천간에는 없고 지지의 축과 진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축진토 이기때문에, 본래의 물이 아닙니다. 오행중 4행이 있는 경우, 나머지 일행이 약점이 되기 쉽습니다. 흙이 강하고 그렇지 않아도 약한 물을 극합니다. 진운 무진년 34세 때에 신장이식을 하였습니다. 원래 신장(수)가 약하고, 토가 왕하여 신장에 결정적인 데미지를 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例題2
1980.2.14 辰時生/女命/子平命学弁証
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印綬 |
- |
傷官 |
正財 |
甲 |
丁 |
戊 |
庚 |
辰 |
巳 |
寅 |
申 |
養 |
建禄 |
長生 |
病 |
- |
印綬 |
甲 |
月令 |
33 |
23 |
13 |
3 |
甲 |
乙 |
丙 |
丁 |
戌 |
亥 |
子 |
丑 |
오행의 힘을 보면, 일주 정화는 미에 통근하고 있습니다. 갑목은 계절에 왕 하고 진에 근이 있습니다. 다만 월주는 인신의 충이므로, 갑의 근은 되기 어렵습니다. 무토는 진에 통근 하고 화의 생을 받습니다. 경금은 신에 좌하고미에 통근하고 있습니다만, 신은 충을 받고 있습니다. 수는 진신에 있을 뿐으로 천간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 명식도 또4행이 모여 수가 없는 명식이고, 금수를 기뻐하고 목화를 꺼립니다.
인신은 충, 사인은 형이며, 형충을 같이 보는 형태이기 때문에 흉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명식은 일반적으로는 길한 것으로 여겨지는 명식입니다. 그것은 천간이 시지로부터 일지, 일지로부터 월지, 월지로부터 년지를 일으키고 있는 형태로 오행 주류의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정은 사에 좌하고 있기 때문에 약하지는 않습니다. 신강으로 오행이 주류하면 보통은 귀명입니다.
그러나 체질에 관해서는 화와 수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 점에서 말하면, 이 명식에서는 물이 너무 약합니다. 확실히 진중에 계가 있습니다만 역부족입니다. 이 명의 경우는, 태어난지 얼마되지 않아 고열이 있었는 데 의사에게 보이는 것이 늦어 뇌의 중추부 신경마비가 되어 지체아가 된 여아의 명입니다. 분명히 수가 부족하는 것은 뇌의 기능이 약하다고 하는 것이고, 목에 물이 부족하다고 하는 것은 머리나 뇌신경 장애라고 확실히 판단은 할 수 없지만, 이것이 갑진시가 아니고 을미시이면, 화가 왕하고 수가 없기 때문에, 더 분명히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명식의 경우는 진시이므로, 조금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진시이니까 요절은 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는지도 모릅니다.
例題3
1930. 10.22 卯時生/女命/星命術語宝鑑
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偏財 |
- |
傷官 |
正官 |
己 |
乙 |
丙 |
庚 |
卯 |
巳 |
戌 |
午 |
帝旺 |
病 |
養 |
死 |
- |
正財 |
戊 |
月令 |
45 |
35 |
25 |
15 |
辛 |
壬 |
癸 |
甲 |
巳 |
午 |
未 |
申 |
오행의 힘을 보면 화가 가장 강하고, 나머지는 순서에 토목금의 순서로 물은 명식중에 전혀 없습니다. 화의 힘은 다른 오행보다 빼어나 있어 화와 물이 극단적으로 언밸런스합니다. 희기를 보면, 목수희신으로 화토금을 꺼립니다. 이 명식에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물이 없는 것으로부터 신장이나 생식기의 병, 또 성적으로도 약하여 아이들도 가지기 어렵다. 화가 강한 것으로부터 심장질환입니다만, 병의 근처에 금이 있기 때문에, 화극금이 강하고, 폐질환, 피부병등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화수의 밸런스가 나쁘기 때문에, 일생 자주 아픕니다. 단명이지요. 40세까지는, 목수운이었지만, 40세에서는 오운으로 화가 한층 더 강해집니다. 43세 계축년에 폐암이 되어, 44세 갑인년에 죽었다라고 합니다만, 아마 폐암의 원인은 그 이전부터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갑인은 갑은 희신일 것입니다만, 시간 기토와 합하고, 이 경우 토로 화하여 목이 뭍히는 형태로 일주가 약해지고, 인은 삼합으로 화국이 되어, 화는 더욱 더 왕성하게 됩니다. 이것으로는 경금을 지지하지 못하여 폐를 나쁘게 해 죽는다.
몇번이나 말합니다만, 질병의 진단, 치료라고 하는 것은 의사의 일입니다. 그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이것을 우선은 강조해 둡니다. 우선은 질병과 수요(수명)가 가장 중요한 항목입니다. 점술의 주목적은 장래 예측이기 때문에, 이것은 현대 의학에 비하여 우수한 부분입니다. 병이 들기 쉬운 시기 또 그 원인을 미리 아는 것은, 인생을 보내는데 꽤 유리한 일이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예제 3으로 든 명식입니다만, 이것은 상관견관으로 머지않아 부부사이가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폐암에 걸린 것은, 그 스트레스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미리 그것을 알 수 있고 있으면, 부부사이가 나빠져도 스트레스는 많이 경감될 것입니다. 또 화가 너무 강해 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면, 혹서를 피해 수분을 보급하면 폐의 부담은 큰폭으로 경감되었을지도 모릅니다. 이런 대처의 방법이야말로, 사주팔자의 사용법이다라고 생각합니다. 병이 들고 나서의 치료는 의학이 좋은 것이고, 병이 들고 나서 술사의 문을 노크 하는 것은 실수지요.
例4 精神病患者
1945.9.22/유시생/男命/星命術語宝鑑」
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 |
印綬 |
- |
劫財 |
劫財 |
六親 |
癸 |
甲 |
乙 |
乙 |
干 |
酉 |
午 |
酉 |
酉 |
支 |
胎 |
死 |
胎 |
胎 |
十二運 |
- |
- |
辛 |
正官 |
月令 |
45 |
35 |
25 |
15 |
5 |
大運 |
庚 |
辛 |
壬 |
癸 |
甲 |
干 |
辰 |
巳 |
午 |
未 |
申 |
支 |
本命四行剋戦、尤嫌癸出剋午中丁火。乙出剋午中己土、用神尽傷、精神疾患。
這様八字、如果天干見己字為五行皆戦、夭折命。仮如癸午更位、不致精神疾患。
【訳文】
본명 4행의 극전 있고 더욱이 싫어 하는 것은 계가 오중의 정화를 극한 것이다. 또 을이 오중의 기토를 극하는 것이어거 용신은 모두 상하여 정신이 병들었다. 이 명식은 만약 천간에 기토가 있으면, 오행이 모두 싸우게 되어 요절하게 된다. 만일 계수나 오가 아니면 정신병이 생길 이유도 없었을 것이다.
【命式 및 判断】
본문에서 오화의 극을 나쁜 것으로 말하고 있지만 필자의 생각은 다르다. 천간에 인수와 겁재뿐인데 결국 일간을 생조하는 것뿐이어서 종왕격으로 되지만 종왕격으로서 일간이 너무 약하다. 이러한 명식에서 관살은 당연히 기신이지만 단순한 기신이 아니라 매우 심각한 기신이다. 지지를 보면 태와 사밖에 없으므로 계절도 가을이어서 일간을 위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즉 이 명식은 균형상 매우 좋지 않다. 천간은 목수이고 지지는 화금이니 서로 전극하여(상하) 이 어긋난 밸런스가 나쁜 작용을 하여 정신이상을 일으켰다고 본다.
오행적으로 보면 갑이 일간으로 목오행은 전왕용신이라고 할 수 있다. 목오행은 일반적으로 간장과 신경, 눈을 나타내는 것이 많다. 이 경우는 갑, 을 모두 천간에 있어, 금이 오면 당하기 때문에, 간장 혹은 신경이 파괴됨을 상상할 수 있다. 언제부터 발병했는가는 모르지만 경신년 혹은 경신의 대운이라고 생각할 수 있니다. 간장이나 담낭이 나쁘지 않았던 것일까라고 생각하지만 거기까지는 이 책에는 쓰여져 있지 않다.
1996.12.9/오시/女命/子平命学弁証」
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
食神 |
|
比肩 |
七殺 |
六親 |
壬 |
庚 |
庚 |
丙 |
干 |
午 |
辰 |
子 |
子 |
支 |
沐浴 |
養 |
死 |
死 |
十二運 |
|
|
壬 |
食神 |
月令 |
32 |
22 |
12 |
2 |
大運 |
丙 |
丁 |
戊 |
己 |
干 |
申 |
酉 |
戌 |
亥 |
支 |
本造照伝統論法所謂金水傷官、長得非常秀麗可愛、今年辛巳六歳、仍不会講話、経医師診断結果是弱智症。照理説、金水傷官理応氷雪聡明、智慧絶倫、就是調候不及、也不致成為弱智。
本造地支年月二子、子辰又会局、天干庚生壬、時支火再旺也被旺水剋倒。全局之下、只好以癸水為格。用偏印制壬、偏印是辰宮戊土、丙火制庚生戊為用神。可惜、用神戊土会子而去、生庚転生壬水、無法制壬水。丙火被旺水所剋、無力制庚生戊而壬水仍留原局混濁癸水、格用倶破。水主智、以水為格混濁無法留者乃弱智之象。
【訳文】
이 생명은 전통적인 견해에서는 이른바 금수상관으로, 성장하면서 매우 수려하고 귀엽다고 할 것이다. 신사년에 6세이지만, 거의 말을 하지 못한다. 의사의 진단의 결과는 약지증(저능증)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치에 비추어보면 금수 상관은 빙설과 같이 총명하고 지혜는 뛰어난 것이지만, 이 명은 조후적으로 좋지 않아서 금수상관은 되지 못하고 弱智가 되었다고 한다.
이 명식에서는 년월지에 두개의 자수가가 있고, 또 진과 회국 하고 있다. 천간의 경은 임을 생하고 시지의 화는 한층 더 강하며, 화에 극 된다. 전부를 바라보면 단지 계수가 격을 이루는 경우만이 좋다. 편인으로 임수을 억제하는 것은, 이 편인이라는 것이 진토, 무토이지만, 병화가 경을 억제해 용신 무토를 생한다. 유감스럽게도 용신 무토가 자수와 만나서 가버리고 경을 생하고 경은 임을 생하니 임수를 억제할 수 없다. 병화는 강한 수에 극되어 경을 억제하고 무를 생하는 작용을 하지 못하고, 임수는 원래의 명식의 계수와 혼탁하게 섞여서, 격용 모두를 파괴한다. 수는 智이며, 수가 격이 되어 혼탁하여지는 데 머물도록 방어하지 못하니 弱智를 나타낸다.
【命式 및 判断】
일간은 통근 하지 않았지만, 비견이 있으므로 아주 약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병화는 오에 통근 하고 있고, 임은 자와 진에 통근 있으며 게다가 겨울생이니 가장 강하다. 극강한 편이다.
식신상관이라고 하는 것은 타인을 돕는 것이어서 때로는 간섭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것이 너무 강한데다가 일간이 약하기 때문에 타인과의 교섭등에 어떠한 결함이 있다고 추론한다.
이 명식에서는 특히 뇌신경을 파괴하는 암시는 없기 때문에 오히려 선천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물론 지란 수에 속하기 때문에, 지혜에 어떠한 결함이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단지 이 명식만 보고 즉시 약지증이라고 판단할 수 없다. 병의 증세의 진단은 어디까지나 의사가 하는 것으로, 운세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해대운에서는 식신이 더욱 더 강해지므로, 우선 증상의 개선은 어려울 것이다. 12세 무토의 대운이 되면, 토생금으로 일간을 강하게 하고 임수를 억제하기 때문에 증상은 조금 개선될 것이다. 그러나 弱智인 것이 선천적인 것이면, 상식적으로 말해 완전하게 낫는 것은 무리이다.
例6 心臓病
1964.10.14/午時生/男命/「八字応用学宝典」
七殺 |
|
偏印 |
偏印 |
喜神 |
火木 | |||
壬 |
丙 |
甲 |
甲 |
忌神 |
水金土 | |||
辰 |
申 |
戌 |
辰 |
48 |
38 |
28 |
18 |
8 |
冠帯 |
病 |
墓 |
病 |
己 |
戊 |
丁 |
丙 |
乙 |
|
正財 |
辛 |
月令 |
卯 |
寅 |
丑 |
子 |
亥 |
【命式】
丙日 秋生이므로 계절적으로는 약하다. 또 지지의 술에 통근하지만 우려스러운 것은 지지에서 진술의 충으로 술은 근으로서의 작용을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 임수는 申辰에 通根하고 또 申辰은 水의 半会이므로 강하다. 갑목은 진토에 통근하고 또 두개의 간이니 강하다.
원칙으로서는 목화가 희신, 수금토가 기신이 되지만, 이 명식은 조금 애매한 명조이다. 十干体象에 갑목은 병화를 생함이 별로 없으며 많으면 오히려 해가 된다고 한다. 병이 강한 경우는 차라리 무방하지만 병이 지지에 근이 없다든가 매우 약하면 갑이 병을 해친다고 하는 전형적인 명식이 된다(목다화식)
이에 대해서 을목은 오히려 임을 설하는 것 뿐이어서 병이나 갑에 대해서는 별로 작용이 없다. 오행적으로는 희신이지만, 좀 과장한다면 기신이 아니라고 할 정도이다. 이 명식에서는 지지에 화가 오는 것이 필요하다.
【判断】
질병에 한해서 본다. 이 명식은 일주 병화가 극단적으로 약하다. 화는 심장, 목, 뇌, 혈압등인데, 병화는 소장이나 이빨입니다. 수극화는 눈병을 앓는다고 고서에 자주 있지만, 눈은 아니고 심장이 약한 것이 비교적 많다. 그리고 이 예도 확실히 심장병이다.
선천적으로 심장이 약하다고 생각된다. 태어나 수몇년은 남방의 해이기 때문에 좋을 것이다. 을운은 수의 극을 완화하므로 아직 괜찮다. 해운이 되면 수가 강해지기 때문에 병화는 더욱 더 약해진다. 그런데도 해운의 초기는 남방유년이기 때문에 오히려 좋지만, 경신년, 신유년 등 금이 겹치는 해가 오면 위험하게 된다.
특히 신유년은, 辛이 丙과 합하여 병은 더욱 더 약해진다. 다행히 유년에 진유의 합으로 충을 풀기 때문에 지지에 술이 나오게 되어 병은 강해진다. 그러나 신유술이 모이므로 금이 강하고, 또 수도 강해진다. 신유년에 심장의 발작이 나왔지만, 이 해는 죽는 일은 없었다. 그 후의 일은 모르지만, 2년 후의 계해년은 매우 위험하다. 다만 대운이 병운에 들어가 있으므로 어떻게든 유지할 수 있다. 계속 되는 자운, 축운도 역시 위험하다. 세세하게는 년 운도 아울러 볼 필요가 있다.
1866.2.4/午時生/男命/「命理通鑑」
七殺 |
|
比肩 |
七殺 |
・ |
喜神 |
金水土 | |||
丙 |
庚 |
庚 |
丙 |
・ |
忌神 |
火木 | |||
戌 |
戌 |
寅 |
寅 |
・ |
50 |
40 |
30 |
20 |
10 |
衰 |
衰 |
絶 |
絶 |
・ |
乙 |
甲 |
癸 |
壬 |
辛 |
|
偏財 |
甲 |
月令 |
・ |
未 |
午 |
巳 |
辰 |
卯 |
庚生寅月絶地、寅戌会局、両丙出干、剋身太過、柱無滴水潤金、至午運、会斉火局、瞽目。両干不雑、気勢雖清、然不能解忌神会党之凶、乃為残疾之命。
【訳文】
경일 인월생은 절지이며, 인술의 회국, 두 개의 병이 투간하고, 일주를 극함이 과하다. 명식에는 한 방울의 물도 없어 금을 윤택하게 하는 것이 없다. 오운에 이르고, 화국이 완성되자 맹인이 되었다. 양간부잡하여 기세는 비록 청하지만, 기신이 모이는 것에 의한 흉은 어쩔 수 없어서 장애가 된 명이다.
【命式과 判断】
庚日 春生이니 季節的으로는 약하다. 戌에 通根하고 있지만 해설처럼 화가 강하다. 격국은 편재격보다는 칠살격이고 희신은 금수이고 기신은 화목이다.
이 명식에서 바로 눈에 띄는 것은, 극단적으로 화가 강하고, 물이 전혀 없다고 하는 것이다. 다행히 젊은 나이는 신임계운이기 때문에 금수의 희신운이지만 갑운부터 기신운에 들어간다. 오운은 인오술과 화국이 강해져, 명식이 한층 더 건조해 버리니 이것으로 질병을 면하지 못한다.
눈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목화로, 특히 화일주일 때에 물의 수의 극이 있는 때에 눈을 병을 앓는다고 본다. 그런데 고서를 자세히 보면 맹인이 되는 경우라고 하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① 火가 剋을 받는 경우 ② 木이 剋을 받는 경우
③ 水가 매우 약한 경우 ④ 水가 건조한 경우
⑤ 傷官七殺이 많고 官殺의 行運으로 가는 경우 ⑥ 一殺三財双火가 있는 경우
⑦ 七殺이 강한 경우 ⑧ 土旺하고 火를 보는 경우
⑨ 羊刃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⑩ 羊刃에 七殺이 있는 경우
이렇게 보면 옛날 사람은 시력이 나뻤다. 무엇보다 실명의 원인이라고 하는 것을 조사해 보면 안구 자체의 원인도 있지만, 다른 질환으로 백내장이나 녹내장을 일으키기도 하거나 당뇨병으로 실명하거나 하므로 단순하지는 않다.그러므로 단지 목화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모하다.
이 명식의 경우는 위의 ③④⑤⑦가 맞지만 명식만을 보아서 실명한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이다. 어거지로 찍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
이 명식에서는 우선 갑운부터 컨디션의 변조가 나타나 오는 것, 특히 오운은 건조하므로 신장 기능이나 수분 대사의 저하, 정력 감퇴, 순환기 계통의 이상, 특히 고혈압, 또 화극금에 의한 폐기능이나 피부의 이상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오운은 이상이 분명히 나온다라고 하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아마 실명은 그러한 원인의 어떤 것인가가 증상으로서 표면화한 것일거라고 생각하면 족하다.
例8 胃病手術
1973.7.25/寅時生/女命/実証占星論命」
比肩 |
|
正官 |
劫財 |
・ |
喜神 |
金水 | |||
壬 |
壬 |
己 |
癸 |
・ |
忌神 |
木土火 | |||
寅 |
戌 |
未 |
丑 |
・ |
45 |
35 |
25 |
15 |
5 |
病 |
冠帯 |
養 |
衰 |
・ |
甲 |
癸 |
壬 |
辛 |
庚 |
|
月令 |
己 |
正官 |
・ |
子 |
亥 |
戌 |
酉 |
申 |
【命式과 判断】
이 명은 1993년 계유년(20세)에 위병으로 입원하여 수술을 받은 명이다.
오행의 힘을 본다. 임이 토왕태생이므로 계절적으로 약한 日主이지만, 천간에 임계가 3간으로 꽤 강하다. 축에 통근 하지만, 축未土의 충으로 통근의 작용은 그 만큼 하지 못한다. 기토는 토왕태생으로 술未土에 통근하므로 강하다. 또 지지의 인술의 반회에서 화 및 토를 생하기 때문에 더욱 강하다.
오행의 힘은 토수화의 순서로 강하고, 목금은 약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희기는 금수가 희신, 목토화가 기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20세는 유운 계유년이다. 유는 축과 모여 축未土의 충을 풀기 때문에, 토의 근이 나오게 되어 토는 한층 더 강해진다. 따라서 유는 기신운이 된다. 게다가 계유년은 계가 임을 도와 수가 강해지므로 희신이지만 결과적으로 토수 교전이라고 하는 상태가 된다. 토수 교전에서는 흙이 나타내 보이는 소화기계통이나 수가 나타내 보이는 비뇨기 생식기 계통을 병을 앓는 것이 많다.
그러나 희신년이기 때문에 입원과 수술이라고 해도 별일 아니다고 판단한다.
그런데 위병이라고 판단되었지만 수술이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아야 하는 것인가. 현실적으로는 수술은 의사의 판단이기 때문에 사주팔자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단지 일부 서적에서 신살로 血刃의 해는 재난이나 상해, 교통사고, 난산등에 해당되기 쉽다고 한다. 유금년은 확실히 혈인의 해(년 지, 월지양쪽 모두로부터)이고 백호이기도 하다.
하나 더 대운유와 유년 유가 형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나의 생각이지만 이 구조는 상처같은 것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병으로 수술할지 어떨지는 어디까지나 의사의 판단인 것이며 술사가 경솔하게 말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이런 과거를 지적하면 갑자기 신뢰도는 높아지는 것은 틀림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