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壬,癸 中和 (8월5일강의)
1. 壬水
1)戊土
->壬水의 짝은 戊土이다, 사람이 생각할 때 바닷물을 쓸려면 어떻게 써야 하나,
->옛날에는 이사를 갔다, 강물을 쓰려면 강물을 길어다 쓴것이 아니라, 강물 옆에 산다,
->강물 옆에 도심이 살아난다, 머무르는 강에 살려니 戊土가 있어야 癸水처럼 쓸수 있다,
->무토가 없이는 임수가 말할 수 없다,
2)丙火
->丙火가 짝이다, 丙火가 없으면 비가 오지 않는다,
->壬水가 戊土이면 논이되고, 壬水가 丙火는 밭이 된다,
->이속에서 甲木목이 살아나서 木이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3)甲木(己土)
->壬水가 있고 甲木이 있으면 水多木浮가 되니 떠내려가는 것이다,
->잘 못되는 것이다, 부류한 인생을 살아가고 인생이 소금에 절여지는 것이다,
->세월이 가다보면 己土에 걸려야 한다, 객지에 나가서 정착하려면 그래야 한다,
->영업하는 것, 집에서 영업은 잔소리, 壬水가 있고 己土는 유통, 수입, 수출 무역,
->해외왕래, 사기꾼처럼 보여야 한다, 이를 경영이라고 한다,
->이를 오래하려면 경금이 있어야 한다, 특화된것, 특례된것을 지속시키는 작용이다,
* 庚金
->위에 1번이나 2번 3번에 庚金을 개입하면 특화된 것을 오래해야 한다,
->3번에 庚金이 개입되면 유통업 오래하는 것이 아니고 특화된 것으로 오래하다,
->봄여름이면 특화된 상품, 가을이면 특화된 금융업을 하는 것이다,
->2번에 庚金이 개입되면 밭에 농사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환경을 이용하는 사람이다,
->1번에 庚金이 개입되면 건설, 건축, 농사, 내가 하는 것이다,
->2번은 시기를 이용하고 시대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4)丁火
->壬水가 丁火보면 공업용수와 같다, 농업용수는 壬水 戊土 甲木,
->壬水가 丁火보면 木이 살아나니 이때는 농작물이 아니라 제품이 나온다,
->논밭에는 자연식품이 나오고 壬水가 丁火를 보면 제품이나 조제된 음식이 나온다,
->물에서는 양어장 물고기가 나오는 것이다, 응용, 제조, 개량, 제조분야의 산업분야를 말한다,
->요즘은 농업, 농민, 농업 경영인 모임이라 한다,
->丁壬合하면 木이 나오니 사출공장에도 물이 필요하고, 물 필요하지 않은 공장은 없다,
->전자제품 조립하는 공장도 공업용수가 필요하다, 이것은 화학이다,
->공장에 물이 없으면 말이 되지 않는다, 화학 제품과 같다,
->木을 써먹는 것이다, 제품이다, 가공이 들어간 제품을 말한다,
5)癸水
->실무자를 만난 것과 같다, OEM방식에 생산업,
->임수가 유통에서 일을 만들어 오고, 계수는 일하는 것이다,
6)辛金
->빈 우물과 같다, 辛金이 말라 비틀어 졌다, 壬水의 급류에 휩쓸려 마른 것이다,
->빈 우물이 넘치게 되니 우물이 빈 것과 같은 것이다, 庚金이 이를 해결한다,
->만약 이때 己土로 막으면 흙탕물이다, 식당에 음식이 청결하지 못하다,
->戊土로 우물을 막았으니 직장 폐쇠조치를 한 것과 같다, 반듯이 庚金로 水를 생해야 한다,
->빈우물은 빌려다 쓰는것이 제일 이다,
->辛金이 빈우물이나 마르지 않으려면 庚金이 있어야 한다,
2. 癸水
->癸水는 쓸모가 많기 때문에 삼라만상에 모두에 달라 붙어서 쓴다,
->임수는 육지생물이 쓸려면 끌어 들여야 쓰니 조건이 필요하다,
->癸水는 다 쓰지만 너무 많이 없으면 된다, 모자라지도 않아야 모두가 잘 산다,
1)庚辛金
->癸水가 根이 旺하거나 金生水가 되면 많아서 못쓰게 되고, 모자라도 못쓴다,
->만약 모자라면 庚辛金으로 보충하고, 왕강하지 않아야 잘 쓸 수 있다,
->癸水가 다시 庚辛金이 많으면 강이되어 버린다,
->투간된 癸水나 통근된 癸水는 실용수가 저만치 흘러간 것이다,
->金生水를 받은 것으로 다 쓰는 것이다, 旺强하지 않으면 된다, 이것만 생각하라,
->癸水가 실용水로 쓸려면 戊土로 배여들고, 己土로 배여들어야 잘 쓴다,
2)戊己土
->이래야 甲乙木이 살아난다, 戊土에는 甲木이 잘 살고, 己土에는 乙木이 잘 산다,
->만약 水가 旺强하면 못산다, 庚辛으로 旺하면 오래도록 잘 살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庚辛金이 너무 많으면 물이 많아서 모래 자갈까지 휩싸이니 척박한 환경이다,
->水가 旺强해지면 자수성가해야 할 사람이다, 만약 庚辛金이 적절하면 좋은 조건에서 사는 것이다,
->水가 너무 많으면 火를 끄니 안되는 일만 하는 사람이다,
->이는 처음에는 되는 듯 하나 나중에는 안되게 된다,
->癸水는 戊己土가 있어야만 甲乙木을 자라게 한다,
->金이 많은 사람은 처음에는 고생스럽고 나중에는 즐거운 것이다, 선고후락하다,
->水가 많은 사람은 처음에는 시작은 좋으나 나중에는 고생이니 선락후고이다,
->들어갈때는 잘 들어가고 나오기 힘든 것은 水가 많은 사람이다,
->들어갈때는 힘드나 결국 좋은 결실은 얻는 것은 金으로 旺한 사람이다,
->계수와 금수가 너무 많으면 인생 종친 것이다, 처음도 고생 나중도 고생이다,
3)丙丁火
->癸水는 戊土 癸水가 필요하다, 이것 이외는 없다,
->丙火가 있으면 잘 살아나고 이런 환경에서 복덕이 많다는 것이다,
->丁火가 있으면 복덕이 계속 마르고 오른다는 말이다,
4)壬水
->나한데 일시켜 먹는 것이다, 壬水 癸水는 같은 것이다,
->바다에서 하천으로 배수로를 만들고 포구를 만드는 것과 같다,
->癸水에 壬水는 대개 수입이다, 배가 접안되는 포구와 같은 것이다,
->반대로 壬水에 癸水는 수출이다, 외주인가 내주인가를 살피는 기준이다,
->하청이나 하역장, 나한데 일을 주는 것이다, 癸水는 배합을 중시한다,
->戊己土가 우선한다, 癸水가 己土를 보면 甲木을 부담이고 乙木을 키운다,
5)甲乙木
->요즘 여자는 癸水가 己土 甲木이 있으면 자식과 남편을 건사하는데 힘들어서 이혼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 庚辛金이 있으면 하지 않는다, 庚辛金이 旺强해도 내보내니 이도 힘들어서 이혼하는 것이다,
->癸水가 자식복이 없으려면 庚辛金을 旺强하면 甲을 작살내키니 남편과 자식복을 논할 수 없다,
->癸水가 壬水가 있고 己土가 있으면 남편이 바람난다, 己壬濁水가 되었으니 그렇다,
->남편이 바람난다고 하는 것이 좋을까, 사업을 한다고 좋을까, 사업하면 청춘사업도 하는 것이다,
->癸水는 배합이 우선시 된다,
3. 壬癸水의 病藥論
->水라는 것은 만물을 키우는 근원이다, 태양아래 땅이 있고, 땅은 토가 있으니 환경이다,
->수는 생명수이고 실용수이기 때문에 귀한 것이다,
->수가 없으면 극복하기 힘들고 고단하다,
1)목다수축(木多水縮) [목성수축(木盛水縮)]
->목다수축은 癸水이다,
->목다수축은 설수이다, 토가 없어서 목이 많아서 빠져나간 것이다,
->들어오는 물을 막는 것을 방제나 방파제라 하고, 나가는 것을 못나가게 하는 것을 제방,
->목다수축은 금생수해야 한다, 결국 굶어 죽는 것이다,
2)수다목부(水多木浮) [수다목표(水多木漂)]
->수다목부는 壬水이다, 戊己土를 써야 한다,
->방랑하는 것이고, 목다수축은 밑천 들어나는 것이다, 자본금 들어난 것이다,
->목다수축은 재료가 떨어진 것이다, 수다목부는 떠도는 것이다, 둘다 결국 木이 죽는 것이다,
3)화다수증(火多水蒸)이며,[화다수비(火多水沸)]
->화다해서 수가 마르다, 금생수해야 한다,
4)수다화멸(水多火滅)
->수다해서 화가 꺼지다, 수가 많아서 불이 꺼졌다,
->임수가 많아서 불꺼질수도 있고, 계수가 많아서 불꺼질수도 있다,
->임수는 무토가 해결하고, 계수는 갑목이 해결해야 한다,
5)토다수어(土多水?)이다.[토다수색(土多水塞)]
->토다해서 물이 마르다, 갑목으로 해결해야 한다,
6)수다토류(水多土流)
->수다해서 토가 쓸려가다,
->기토로 막은 것을 말한다, 갑목으로 해결해야 한다,
7)금다수탁(金多水濁) [금다수체(金多水滯)]
->금다해서 물이 탁해지다,
->금이 너무 많다, 물이 흙탕물되고 자갈밭되었다는 말이다, 토로 막아야 한다,
->금다하면 물이 넘쳤다는 말이니 토로 막아야 한다,
8)수다금침(水多金沈) [수성금침(水盛金沈)]
->수다해서 금이 빠지다, 이는 빼야 한다,
->土로 막는 것보다는 밑으로 빼야 하니 木이 있어야 한다,
--- 감사합니다 ---